歐洲學者孔茲的《心經》英譯本為什麼那麼盛行?
http://blog.yam.com/heartspirit/article/4112416
孔茲是是近代著名的『般若經』專家,他的《心經》翻譯精確度極高,幾乎被視為標準英 譯本,其地位等同於玄奘的中譯本。
孔茲(Edward Conze,1904 - 1979)原籍德國,是近代研究般若經典最著名的學者。
在歐 美,這位偉大的佛學翻譯家最常被拿來和西域的鳩摩羅什與中國的玄奘相提並論。
他在長 達二十年的譯經工作中,完成般若經相關的經典達三十本之多,其中也包括了《金剛經》 與《心經》。
●翻譯精準,無可取代的英文版《心經》
心經雖被譯成多國語言,但無論是任何語言翻譯,在翻譯過程中,似乎是很難避免語意的 流失,畢竟很難有兩個語言能表現完全相同的意境。
那麼孔茲的心經為什麼值得閱讀呢? 孔茲譯本的最大特點是用語精準,並能完整呈現梵文心經裡的過去進行式、被動式等時態 表達。
這些時態對於解析心經原意是很大的關鍵,可惜在玄奘或鳩摩羅什的中譯本裡並未 表達出來。
因此,仔細閱讀孔茲的譯本,留意時態的表現,有助於深入了解《心經》文句 的原始相貌。
●學問和修行兼備的佛學翻譯家 孔茲十三歲時開始接觸佛教。如同西域的鳩摩羅什、中國的玄奘,或是日本的空海,
這些 《心經》的古今譯者都是語文天才,孔茲也是如此,二十四歲時已通曉十四種語言,包括 了梵語。
三十多歲正式投入佛教研究,時值第二世界大戰初期,當時他接觸到鈴木大拙的 佛學著作,一下子就著迷了,並將後來的生命歲月全都奉獻給佛教。
其最重要的翻譯是般 若經典,乃是大乘佛教的基礎教義。 孔茲不僅在佛教領域是優秀學者,他也實踐修行,特別是禪定冥想。
雖然有人質疑,研究 佛教思想,不該涉入個人的宗教體驗,
但是孔茲如此解釋:「把佛學陳述作為一個可理解 的、可能被信賴的、正確的系統的同時,
本人從來沒忘記佛學真正的目的是為了使我們能 從這世間獲得解脫因而建構的一種修行上的方便。」
顯然孔茲把研究作為修行,在研究佛 法的當下盡己所能去實踐佛法,甚至體悟真實!
孔茲最有名的著作《佛教國》(俗稱『康斯佛教』)於1951年發行,影響歐洲思想界甚鉅 ,到目前為止,已經有法、德、美、義、荷、日等多國譯本,
頗負盛名。
此後還有《佛教 徒三十年研究》、《印度佛教徒的思想》等許多著作出版。
英譯版本E. Conze http://kr.buddhism.org/zen/sutras/conze.htm
THE HEART SUTRA
Om Homage to the Perfection of Wisdom the Lovely, the Holy !
Avalokita, the Holy Lord and Bodhisattva, was moving in the deep course of the Wisdom which has gone beyond.
He looked down from on high, He beheld but five heaps, and He saw that in their own-being they were empty.
Here, O Sariputra, form is emptiness and the very emptiness is form ;
emptiness does not differ from form, form does not differ from emptiness, whatever is emptiness,
that is form, the same is true of feelings, perceptions, impulses, and consciousness.
Here, O Sariputra, all dharmas are marked with emptiness ;
they are not produced or stopped, not defiled or immaculate, not deficient or complete.
Therefore, O Sariputra, in emptiness there is no form nor feeling, nor perception, nor impulse, nor consciousness ;
No eye, ear, nose, tongue, body, mind ; No forms, sounds, smells, tastes, touchables or objects of mind ;
No sight-organ element, and so forth, until we come to : No mind-consciousness element ;
There is no ignorance, no extinction of ignorance, and so forth, until we come to :
There is no decay and death, no extinction of decay and death.
There is no suffering, no origination, no stopping, no path. There is no cognition, no attainment and no non-attainment.
Therefore, O Sariputra, it is because of his non-attainmentness that a Bodhisattva,
through having relied on the Perfection of Wisdom, dwells without thought-coverings.
In the absence of thought-coverings he has not been made to tremble, he has overcome what can upset,
and in the end he attains to Nirvana. All those who appear as Buddhas in the three periods of time fully awake to the utmost,
right and perfect Enlightenment because they have relied on the Perfection of Wisdom.
Therefore one should know the prajnaparamita as the great spell, the spell of great knowledge, the utmost spell,
the unequalled spell, allayer of all suffering, in truth -- for what could go wrong ?
By the prajnaparamita has this spell been delivered. It runs like this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 Gone, gone, gone beyond, gone altogether beyond, O what an awakening, all-hail ! -- )
This completes the Heart of perfect Wisdom.
(Translated by E. Conze)
2019年2月22日 星期五
2019年2月12日 星期二
谷口明夫-陸宣公集とその注解
谷口明夫-陸宣公集とその注解
谷口明夫-陸宣公集とその注解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 目次
・ 奏草
・ 巻之一
・ 論関中事宜状
・ 論両河及淮西利害状
--
巻之二
・ 論叙遷幸之由状
・ 奉天論奏当今所切務状
・ 奉天論前所答奏未施行状
・ 巻之三
・ 奉天論尊号加字状
・ 重論尊号状
・ 奉天論赦書事条状
・ 奉天論擬与翰林学士改転状
・ 奉天数対群臣兼許命論事状
--
巻之四
・ 奉天請罷〓林大盈二庫状
・ 奉天論解蕭復状
・ 奉天薦袁高等状
・ 奉天論李晟所管兵馬状
・ 奉天奏李建徽楊恵元両節度兵馬状
・ 駕幸梁州論進献瓜果人擬官状
・ 又論進瓜果人擬官状
・ 巻之五
・ 興元論解姜公輔状
・ 又答論姜公輔状
・ 興元論請優奨曲環所領将士状
・ 興元論解蕭復状
・ 又答論蕭復状
・ 興元論続従賊中赴行在官等状
--
巻之六
・ 興元論撫循李楚琳状
・ 興元論中官及朝官賜名定難功臣状
・ 興元賀吐蕃尚結賛抽軍廻帰状
・ 興元奏請許渾〓李晟等諸軍兵馬自取機便状
・ 興元論賜渾〓詔書為取散失内人等議状
・ 巻之七
・ 鑾駕将還宮闕論発日状
・ 請釈趙貴先罪状
・ 論替換李楚琳状
・ 収復河中後請罷兵状
・ 奏議
・ 巻之八
・ 請許台省長官挙薦属吏状
・ 論宣令除裴延齢度支使状
・ 論斉映斉拡官状
・ 請遣使臣宣撫諸道遭水州県状
・ 論淮西管内水損処請同諸道遣宣慰使状
・ 論嶺南請於安南置市舶中使状
--
巻之九
・ 請減京東水運収脚価於〓辺州鎮儲蓄軍糧事宜状
・ 商量処置竇参事体状
・ 奏議竇参等官状
・ 請不簿録竇参荘宅状
・ 請還田緒所寄撰碑文馬絹状
・ 巻之十
・ 謝密肯因論所宜事状
・ 議〓州逐劉士寧事状
・ 請不与李万栄汴州節度使状
・ 請依京兆所請折納事状
・ 論度支令京兆府折税市草事状
--
巻之十一
・ 論辺城貯備米粟等状
・ 論〓辺守備事宜状
・ 巻之十二
・ 論左降官准赦合量移事状
・ 又奏量移官状
・ 又進量移官状
・ 論朝官闕員及刺史等改転倫序状
--
巻之十三
・ 均節賦税恤百姓六条
・ 巻之十四
・ 論裴延齢姦蠧書一首
--
制誥
・ 巻之十五
・ 奉天改元大赦制
・ 平朱泚後車駕還京大赦制
・ 巻之十六
・ 貞元改元大赦制
・ 冬至大礼大赦制
・ 巻之十七
・ 貞元九年冬至大礼大赦制
・ 蝗虫避正殿降免囚徒徳音
・ 誅李懐光後原宥河中将吏並招諭淮西詔
・ 誅李希烈後原宥淮西将吏並授陳仙奇節度詔
・ 重原宥淮西将士詔
・ 巻之十八
・ 賑恤諸道将吏百姓等詔
・ 優〓畿内百姓並除十県令詔
・ 重優復興元府及洋鳳等州百姓詔
・ 議減監価詔
・ 賜京畿及同〓等州百姓種子賑給貧人詔
・ 賜将士名奉天定難功臣詔
・ 改梁州為興元府升洋州為望州詔
--
巻之十九
・ 奉天遣使宣慰諸道詔
・ 収復京師遣使宣慰将吏百姓詔
・ 平淮西後宴賞諸軍将士放帰本道詔
・ 授王武俊李抱真官封並招諭朱滔詔
・ 招諭淮西将吏詔
・ 招諭河中詔
・ 安撫淮西帰順将士百姓勅
・ 甄奨陥賊守節官詔
・ 令百寮議大礼期日詔不許諸軍侵擾勅
・ 放淮西生口帰本貫勅令諸道募霊武鎮守人詔
・ 巻之二十
・ 冊淑妃王氏為皇后文
・ 冊嘉誠公主文
・ 冊蜀王妃文
・ 冊杞王妃文
・ 告謝昊天上帝冊文
・ 告謝玄宗廟文
・ 告謝粛宗廟文
・ 告謝代宗廟文
・ 祭大禹廟文
・ 制策問賢良方正能直言極諫科
・ 制策問博通墳典達於教化科
・ 制策問識洞韜略堪任将帥科
・ 答宰相請停大礼表
・ 答百寮請停大礼表
・ 答第二表
・ 答第三表
・ 答百寮賀利州連理木表
・ 答宰臣請復御膳表
・ 答百寮請復御膳表
・ 巻之二十一
・ 李晟司徒兼中書令制
・ 蕭復劉従一姜公輔平章事制
・ 張延賞中書侍郎平章事制
・ 渾〓侍中制
・ 盧翰劉従一門下中書侍郎平章事制
・ 劉滋崔造斉映平章事制
・ 李納検校左僕射平章事制
・ 韓滉検校左僕射平章事制
・ 李勉太子師制
・ 姜公輔左庶子制
・ 崔造右庶子制
・ 盧翰太子〓客制
--
巻之二十二
・ 賈耽東都留守制
・ 崔縦東都留守制
・ 普王荊襄江西等道兵馬都元帥制
・ 馬燧渾〓副元帥招討河中制
・ 李晟鳳翔隴西節度兼涇原副元帥制
・ 劉洽検校司空充諸道兵馬都統制
・ 巻之二十三
・ 渾〓京畿金商節度使制
・ 杜亜淮南節度使制
・ 虔王申光随蔡等州節度使制
・ 唐朝臣振武節度使論惟明鄜坊観察使制
・ 韓滉加検校右僕射制
・ 嘉王横海軍節度使制
・ 馬燧李皐賜実封制
・ 韓滉度支監鉄転運等使制
・ 李叔明右僕射制
・ 李澄贈司空制
・ 除鄧州帰順官制
・ 李納検校司空制
・ 巻之二十四
・ 賜李納王武俊等鉄券文
・ 賜安西管内黄姓纛官鉄券文
・ 慰問四鎮北庭将吏勅書与回〓可汗書
・ 賜吐蕃将書
・ 賜吐蕃宰相尚結賛書三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1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3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2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40
陸宣公全集註. 3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1
陸宣公全集註. 4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2
陸宣公全集註. 5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3
陸宣公全集註. 6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4
陸宣公全集註. 7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5
陸宣公全集註. 8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6
陸宣公全集註. 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7
陸宣公全集註. 10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8
--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上) - 谷口明夫,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50_po_ART0005018711.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中)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68_po_ART0005018736.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下)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77_po_ART0005018748.pdf?contentNo=1&alternativeNo=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刊行考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513_po_ART0005018511.pdf?contentNo=1&alternativeNo=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info:ndljp/pid/10504477?tocOpened=1
谷口 明夫
タニグチ アキオ | TANIGUCHI Akio
1994 - 2005 陸宣公奏議の書誌学的研究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略論
一九九七東亞漢學論文集(出版社:台湾学生書局) 1998
谷口明夫-陸宣公集とその注解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 目次
・ 奏草
・ 巻之一
・ 論関中事宜状
・ 論両河及淮西利害状
--
巻之二
・ 論叙遷幸之由状
・ 奉天論奏当今所切務状
・ 奉天論前所答奏未施行状
・ 巻之三
・ 奉天論尊号加字状
・ 重論尊号状
・ 奉天論赦書事条状
・ 奉天論擬与翰林学士改転状
・ 奉天数対群臣兼許命論事状
--
巻之四
・ 奉天請罷〓林大盈二庫状
・ 奉天論解蕭復状
・ 奉天薦袁高等状
・ 奉天論李晟所管兵馬状
・ 奉天奏李建徽楊恵元両節度兵馬状
・ 駕幸梁州論進献瓜果人擬官状
・ 又論進瓜果人擬官状
・ 巻之五
・ 興元論解姜公輔状
・ 又答論姜公輔状
・ 興元論請優奨曲環所領将士状
・ 興元論解蕭復状
・ 又答論蕭復状
・ 興元論続従賊中赴行在官等状
--
巻之六
・ 興元論撫循李楚琳状
・ 興元論中官及朝官賜名定難功臣状
・ 興元賀吐蕃尚結賛抽軍廻帰状
・ 興元奏請許渾〓李晟等諸軍兵馬自取機便状
・ 興元論賜渾〓詔書為取散失内人等議状
・ 巻之七
・ 鑾駕将還宮闕論発日状
・ 請釈趙貴先罪状
・ 論替換李楚琳状
・ 収復河中後請罷兵状
・ 奏議
・ 巻之八
・ 請許台省長官挙薦属吏状
・ 論宣令除裴延齢度支使状
・ 論斉映斉拡官状
・ 請遣使臣宣撫諸道遭水州県状
・ 論淮西管内水損処請同諸道遣宣慰使状
・ 論嶺南請於安南置市舶中使状
--
巻之九
・ 請減京東水運収脚価於〓辺州鎮儲蓄軍糧事宜状
・ 商量処置竇参事体状
・ 奏議竇参等官状
・ 請不簿録竇参荘宅状
・ 請還田緒所寄撰碑文馬絹状
・ 巻之十
・ 謝密肯因論所宜事状
・ 議〓州逐劉士寧事状
・ 請不与李万栄汴州節度使状
・ 請依京兆所請折納事状
・ 論度支令京兆府折税市草事状
--
巻之十一
・ 論辺城貯備米粟等状
・ 論〓辺守備事宜状
・ 巻之十二
・ 論左降官准赦合量移事状
・ 又奏量移官状
・ 又進量移官状
・ 論朝官闕員及刺史等改転倫序状
--
巻之十三
・ 均節賦税恤百姓六条
・ 巻之十四
・ 論裴延齢姦蠧書一首
--
制誥
・ 巻之十五
・ 奉天改元大赦制
・ 平朱泚後車駕還京大赦制
・ 巻之十六
・ 貞元改元大赦制
・ 冬至大礼大赦制
・ 巻之十七
・ 貞元九年冬至大礼大赦制
・ 蝗虫避正殿降免囚徒徳音
・ 誅李懐光後原宥河中将吏並招諭淮西詔
・ 誅李希烈後原宥淮西将吏並授陳仙奇節度詔
・ 重原宥淮西将士詔
・ 巻之十八
・ 賑恤諸道将吏百姓等詔
・ 優〓畿内百姓並除十県令詔
・ 重優復興元府及洋鳳等州百姓詔
・ 議減監価詔
・ 賜京畿及同〓等州百姓種子賑給貧人詔
・ 賜将士名奉天定難功臣詔
・ 改梁州為興元府升洋州為望州詔
--
巻之十九
・ 奉天遣使宣慰諸道詔
・ 収復京師遣使宣慰将吏百姓詔
・ 平淮西後宴賞諸軍将士放帰本道詔
・ 授王武俊李抱真官封並招諭朱滔詔
・ 招諭淮西将吏詔
・ 招諭河中詔
・ 安撫淮西帰順将士百姓勅
・ 甄奨陥賊守節官詔
・ 令百寮議大礼期日詔不許諸軍侵擾勅
・ 放淮西生口帰本貫勅令諸道募霊武鎮守人詔
・ 巻之二十
・ 冊淑妃王氏為皇后文
・ 冊嘉誠公主文
・ 冊蜀王妃文
・ 冊杞王妃文
・ 告謝昊天上帝冊文
・ 告謝玄宗廟文
・ 告謝粛宗廟文
・ 告謝代宗廟文
・ 祭大禹廟文
・ 制策問賢良方正能直言極諫科
・ 制策問博通墳典達於教化科
・ 制策問識洞韜略堪任将帥科
・ 答宰相請停大礼表
・ 答百寮請停大礼表
・ 答第二表
・ 答第三表
・ 答百寮賀利州連理木表
・ 答宰臣請復御膳表
・ 答百寮請復御膳表
・ 巻之二十一
・ 李晟司徒兼中書令制
・ 蕭復劉従一姜公輔平章事制
・ 張延賞中書侍郎平章事制
・ 渾〓侍中制
・ 盧翰劉従一門下中書侍郎平章事制
・ 劉滋崔造斉映平章事制
・ 李納検校左僕射平章事制
・ 韓滉検校左僕射平章事制
・ 李勉太子師制
・ 姜公輔左庶子制
・ 崔造右庶子制
・ 盧翰太子〓客制
--
巻之二十二
・ 賈耽東都留守制
・ 崔縦東都留守制
・ 普王荊襄江西等道兵馬都元帥制
・ 馬燧渾〓副元帥招討河中制
・ 李晟鳳翔隴西節度兼涇原副元帥制
・ 劉洽検校司空充諸道兵馬都統制
・ 巻之二十三
・ 渾〓京畿金商節度使制
・ 杜亜淮南節度使制
・ 虔王申光随蔡等州節度使制
・ 唐朝臣振武節度使論惟明鄜坊観察使制
・ 韓滉加検校右僕射制
・ 嘉王横海軍節度使制
・ 馬燧李皐賜実封制
・ 韓滉度支監鉄転運等使制
・ 李叔明右僕射制
・ 李澄贈司空制
・ 除鄧州帰順官制
・ 李納検校司空制
・ 巻之二十四
・ 賜李納王武俊等鉄券文
・ 賜安西管内黄姓纛官鉄券文
・ 慰問四鎮北庭将吏勅書与回〓可汗書
・ 賜吐蕃将書
・ 賜吐蕃宰相尚結賛書三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1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3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2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40
陸宣公全集註. 3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1
陸宣公全集註. 4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2
陸宣公全集註. 5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3
陸宣公全集註. 6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4
陸宣公全集註. 7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5
陸宣公全集註. 8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6
陸宣公全集註. 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7
陸宣公全集註. 10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8
--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上) - 谷口明夫,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50_po_ART0005018711.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中)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68_po_ART0005018736.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下)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77_po_ART0005018748.pdf?contentNo=1&alternativeNo=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刊行考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513_po_ART0005018511.pdf?contentNo=1&alternativeNo=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info:ndljp/pid/10504477?tocOpened=1
谷口 明夫
タニグチ アキオ | TANIGUCHI Akio
1994 - 2005 陸宣公奏議の書誌学的研究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略論
一九九七東亞漢學論文集(出版社:台湾学生書局) 1998
2019年2月4日 星期一
大學衍義(1)●대학연의(1)
大學衍義(1)●대학연의(1)
범례
御製重刊大學衍義序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御製重刊大學衍義序
朕이 惟古之君天下者가 興道致治(注1)
必有其要然後에 能使家齊國治而天下平焉하나니 惟大學一書가 乃古人修身治天下之要道라 宋儒眞德秀가 推衍其義하여 綱擧目張하여 本末具備하니 眞可爲後世人君之鑑戒也라
《大學衍義》 重刊에 즈음하여 쓴 御製 序文
朕의 생각에, 옛날 천하에 임금 된 이들은 道를 일으켜 治世를 이루는 데 있어 반드시 그 요체가 있은 뒤에야 집안이 가지런해지고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천하가 평안해지게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오직 《大學》이라는 책이 바로 옛사람들이 자신을 수양하고 천하를 다스렸던 중요한 방도였다. 宋나라의 유학자 眞德秀가 이 뜻을 推論하고 敷衍하여 綱이 제시되고 目이 나열되어서 本과 末이 모두 갖추어졌으니, 진실로 후세 임금의 鑑戒가 될 만하다.
恭惟我太祖高皇帝(注2)
가 首定家邦하사 落成宮殿(注3)
하시고 卽命儒臣하사 取大學衍義하여 書于墻壁하여 以代繪畫(注4)
러시니 曁我太宗文皇帝(注5)
가 遷都北京(注6)
하시니 朕이 以宗人으로 自顧沖昧호대 荷天地․祖宗垂祐하여 以皇兄武宗之命으로 入嗣大統(注7)
호니 雖不得目覩宮墻所書하나 而訓章이 具存하여 載諸寶冊하니 深思皇祖垂訓惓惓之意하여 罔敢怠忘호라
삼가 생각건대, 우리 太祖 高皇帝께서 먼저 나라를 안정시켜서 궁전을 낙성하고는 바로 儒臣에게 명을 내려 《大學衍義》를 궁전의 회랑 벽에 써서 그림을 대신하게 하셨는데, 그 뒤 우리 太宗 文皇帝 때에 北京으로 도읍을 옮기셨다. 짐은 종친으로서 스스로를 돌아볼 때 나이가 어리고 우매함에도 天地와 祖宗의 보살핌을 받아 皇兄인 武宗의 명으로 들어와서 大統을 이었다. 비록 궁전 회랑 벽에 써 있는 글을 직접 보지는 못하였지만 가르침이 담겨 있는 글이 모두 남아 寶冊에 실려 있으니, 皇祖(太祖 高皇帝)께서 간곡하게 훈계하신 뜻을 깊이 생각해볼 때 감히 게을리하거나 잊을 수가 없다.
比居藩邸에 面承皇考(注8)
之敎러니 稍長에 卽命出閣讀書(注9)
하시고 且命就講官하여 講解大學衍義하사 曰 此書가 於人에 深有裨益이니 汝遵予言하여 力爲進學하라 學不負人이라 在用功專與不專耳라하시니 朕이 拜稽受敎(注10)
러니 不幸皇天이 降割하여 親輿上賓(注11)
하시니 言猶在耳로되 追念何及이리오 近日內閣(注12)
輔臣이 請以是書進講할새 特於五月十三日에 始命經筵日講官하여 輪直講讀하여 以資朕學하노니
짐이 예전에 潛邸에 거처할 때 皇考의 가르침을 직접 받았는데, 조금 장성하자 곧바로 전각으로 나가 독서하라고 명하셨다. 그리고 講官에게 나아가서 《大學衍義》를 강해하도록 명하면서 말씀하시기를 “이 책은 사람에게 매우 도움이 되니 너는 내 말을 따라 힘써 학문에 정진하도록 하라. 학문은 사람을 저버리지 않으니, 공부를 전일하게 하느냐 마느냐에 달려 있다.”라고 하셨다. 짐은 절을 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가르침을 받았는데 불행하게도 하늘이 재앙을 내려 皇考께서 돌아가셨으니, 아직도 그 말씀이 귓가에 맴돌지만 황고를 追念한들 어찌 미칠 수 있겠는가.근일에 內閣의 輔臣들이 이 책을 進講하자고 청하기에 특별히 5월 13일에 경연의 日講官에게 처음으로 명을 내려 돌아가며 숙직하면서 강독하게 함으로써 짐의 학문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夫眞氏之撰是書也가 首書帝王爲治之序하니 蓋統言之요 次則論堯․舜以下諸君之學하니 夫學則心志通明하여 事至物來에 無所不達이라 故務學이 爲君人之首事요
眞德秀가 이 책을 저술할 때 ‘역대 聖王이 治世를 이룩해갔던 단계[帝王爲治之序]’를 맨 먼저 기록하였는데, 이는 총괄적으로 말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堯임금과 舜임금 이하 여러 임금들의 학문을 논하였는데, 학문을 하면 마음이 환하게 밝아져서 사물을 접할 때 통달하지 않는 것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학문에 힘쓰는 것은 임금 된 이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인 것이다.
至論格物致知之要엔 先明道術하여 本之天理人倫하니 理明則人慾이 滅하고 倫序則綱常이 正하여 而異端之差와 王覇之異를 有不足辨矣요 次辨人材는 欲以聖賢之觀人과 帝王之知人으로 爲法하니 則君子小人之不同道와 忠直邪媚之不同科가 較然可知요 次審治體는 以昭禮樂刑政之序하고 察民情은 以明撫虐向背之機요
‘사물의 원리를 깊이 연구하여 知性의 힘을 극대화하는 핵심적인 방법들[格物致知之要]’을 논한 항목에서는 ‘道를 분명히 밝힘[明道術]’이라는 항목을 먼저 제시하고 그 근본을 天理와 人倫에 두었으니, 천리가 분명해지면 人慾이 없어지고 인륜이 질서 잡히면 綱常이 바르게 되어 이단의 오류, 王道와 霸道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없게 된다.다음으로 ‘인재를 구별하는 방법들[辨人才]’을 논한 항목에서는 성현이 인재를 가려내는 방법과 역대 聖王이 인재를 알아보았던 사례들을 法으로 삼고자 하였으니, 이렇게 하면 군자와 소인은 道가 같지 않고 충직한 사람과 간사한 사람은 등급이 같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치국의 강령을 살핌[審治體]’을 논한 항목에서는 禮樂과 刑政의 순서를 밝혔고, ‘여론을 살피는 방법[察民情]’을 논한 항목에서는 백성들을 어루만지느냐 虐待하느냐에 따라 백성들이 지지하느냐 이반하느냐의 기미를 밝히고 있다.
誠意正心之要는 其論崇敬畏․戒逸欲이 爲詳하고 修身之要는 謹言行․正威儀가 爲主하고 而齊家之要는 則所謂重妃(배)匹․嚴內治․定國本․敎戚屬者가 無有不備焉하니
‘생각을 성실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는 요체[誠意正心之要]’를 논한 항목에서는 ‘공경함과 두려워함을 존숭함[崇敬畏]’과 ‘안일과 욕심을 경계함[戒逸欲]’을 논한 부분이 상세하고, ‘자신을 수양하는 요체[修身之要]’를 논한 항목에서는 ‘언행을 삼감[謹言行]’과 ‘위의를 바르게 함[正威儀]’을 위주로 하였다. 그리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요체[齊家之要]’를 논한 항목에서는 이른바 ‘배필을 중히 여김[重妃匹]’, ‘宮闈와 환관에 대한 단속을 엄히 함[嚴內治]’, ‘국본을 정함[定國本]’, ‘외척을 교화함[敎戚屬]’ 등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
總而言之에 皆本於修身하니 格致誠正이 皆所以修其身也니 身修則敎成於家矣라 然其中謹言行․正威儀二語가 尤爲親切하니 蓋君身은 萬化之原이라 一言一動이 關繫匪輕하니 自廳政臨朝로 至於祭祀燕享之時에 不可毫髮忽慢이니 言行謹而威儀正이면 則四海가 從焉하며 臣民이 化焉하고 否則其所令이 反其所好而民不從矣(注13)
니라 然言行을 不可以僞爲며 威儀를 不可以矯飾이라 要在意誠心正而身自修耳니라
총괄적으로 말하면 이 조목들은 모두 자신을 수양하는 것에 근본을 두고 있다. 格物․致知․誠意․正心이 모두 자신을 수양하는 방법이니, 자신이 수양되면 교화가 집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언행을 삼감[謹言行]’, ‘위의를 바르게 함[正威儀]’이라는 두 마디 말이 더욱 직접적이고 절실한데, 임금의 몸은 모든 교화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말 한마디 행동 하나가 그 관계됨이 가볍지 않으니, 政事를 보고 朝會에 임하는 때로부터 祭祀를 지내고 燕享하는 때에 이르기까지 털끝만큼도 소홀히 하거나 태만해서는 안 된다. 언행이 삼가지고 위의가 바르게 되면 온 천하가 임금을 따르게 되고 臣民들이 교화되며, 그렇지 않으면 임금이 내리는 명령이 임금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반대가 되어 백성들이 따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언행을 거짓으로 행할 수는 없는 것이며 위의를 꾸며서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요체는 생각이 성실해지고 마음이 바르게 되어 자신이 저절로 수양되느냐에 달려 있다.
嗚呼라 眞西山이 撰述此書하여 其所以望於後之君天下者가 不旣深哉아 其不及治國平天下者는 擧而措之가 率是道耳니라 朕德不逮라 覽是書에 惕然于懷하노니 自惟下作生民之主하고 上承昊天明命하여 苟不留心大學이면 則無以盡君道之所當爲者니 非但愧居君師之位라 豈不有負於天이며 有負於祖宗哉리오
아, 西山 眞德秀가 이 책을 저술하여 후세의 천하에 임금 된 이들에게 바란 것이 참으로 깊지 않은가. 治國과 平天下에 관한 항목까지 언급하지 않은 것은, 나라와 천하에 시행할 때 이상의 도리를 따르면 되기 때문이다.짐은 덕이 부족하기에 이 책을 볼 때마다 마음에 두려움이 생긴다. 스스로 생각해볼 때 아래로는 백성들의 주인이 되고 위로는 하늘의 밝은 명을 받들고서 진실로 《대학》에 마음을 두지 않는다면 임금이 당연히 행해야 할 도리를 다할 수 없게 되니, 임금의 지위에 있는 것이 부끄러운 정도에서 그칠 문제가 아니다. 어찌 하늘을 저버리는 일이 되지 않겠으며, 祖宗을 저버리는 일이 되지 않겠는가.
讀是書에 則知前代治亂之由가 皆本於學與不學耳니 學則聖賢之道와 爲治本末之序가 如指諸掌하여 修齊之功과 治平之效가 未有不得焉이요 如不學이면 則慾盛理微하여 凡百有害于身于家于國于天下者를 罔知戒止하여 危亡之勢가 未有能逃之者矣니라
이 책을 읽어보면 前代의 治世와 亂世의 원인이 모두 학문을 하였느냐 하지 않았느냐에 근본을 두고 있을 뿐임을 알게 된다. 학문을 하면 성현의 도와 치세를 이룩하는 본말의 순서가 마치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보는 것처럼 분명하여 자신을 수양하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공효와 나라를 잘 다스리고 천하를 평안하게 하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은 적이 없었으며, 학문을 하지 않으면 人慾은 커지고 天理는 희미해져서 자신과 집안과 나라와 천하에 해가 되는 온갖 것들에 대해 경계하고 금지할 줄 모르게 됨으로써 危亡의 형세를 피할 수 있는 자가 없었다.
噫라 是道也는 乃堯․舜․禹․湯․文․武之道라 非孔子之私言이며 亦非德秀之臆說也라 朕이 覽是書에 見刻寫가 未精일새 特命司禮監(注14)
하여 重刊以遺來世하노니 書刻이 可觀이면 庶使讀之者로 不至於厭斁(역)焉이니 刊成에 用序諸首하여 以申朕勉强向學之意云하노라 嘉靖六年六月朔旦에 序하노라(注15)
아, 이 道는 바로 堯임금․舜임금․禹王․湯王․文王․武王의 도이지 孔子의 개인적인 말이 아니며 眞德秀의 臆說도 아니다. 짐은 이 책을 볼 때 板刻과 글씨가 精하지 않음을 보았기 때문에 특별히 司禮監에 명하여 이 책을 重刊하여 후세에 남겨 주노라. 글씨와 판각이 볼만하면 아마도 이 책을 읽는 자들이 싫증을 낼 정도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이다. 간행이 이루어짐에 첫머리에 서문을 써서 向學을 권면하는 짐의 뜻을 밝히는 바이다.
嘉靖 6년(1527) 6월 초하루에 서문을 쓴다.
--
역주
역주1 興道致治 : 《孟子》 〈盡心 上〉에 “선비는 곤궁해도 大義를 잃지 않고 영달해도 道理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곤궁해도 大義를 잃지 않기 때문에 선비가 자신을 지킬 수 있고 영달해도 道理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다.[士窮不失義 達不離道 窮不失義 故士得己焉 達不離道 故民不失望焉]”라는 내용이 보인다. 朱熹는 《孟子集註》에서 “‘자신을 지킨다’는 것은 자신의 지조를 잃지 않는다는 말이다.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람들이 평소에 그가 道를 일으켜 治世를 이루기를 바랐는데 이제 과연 그 소망대로 되었다는 말이다.[得己 言不失己也 民不失望 言人素望其興道致治 而今果如所望也]”라고 하였는데, ‘興道致治’는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역주2 太祖高皇帝 : 1328~1398(재위 1368~1398). 明나라의 초대 황제 洪武帝 朱元璋이다. ‘太祖’는 묘호이며 ‘高皇帝’는 시호이다.
역주3 落成宮殿 : 1368년(洪武1) 9월 초하루에 太廟가 완성되었다. 그리고 9월 30일에 새로 內三殿이 완성되자, 이름을 각각 奉天殿, 華蓋殿, 謹身殿으로 명명하고 좌우의 누각을 文樓와 武樓로 명명하였다. 三殿의 뒤에 궁궐을 지었는데, 앞에 있는 궁을 乾淸宮이라 하고 뒤에 있는 궁을 坤寧宮이라 하였다. 이어 6宮을 차례로 나란히 세웠는데, 건축 양식이 꾸밈없이 매우 소박하였다. 《明史紀事本末 卷14 開國規模》
역주4 取大……繪畫 : 明나라 太祖는 궁궐이 완성되자 博士 熊鼎類에게 명하여 옛사람들의 행실이나 事蹟 가운데 鑑戒가 될 만한 것들을 벽에 쓰라 명하고, 또 侍臣에게 명하여 궁전 양쪽 회랑 벽에 《大學衍義》를 쓰라고 명하였다. 그리고 말하기를 “전대의 궁실에 보면 그림을 많이 그려놓았는데 나는 이를 써서 朝夕으로 관람하고자 한다. 이것이 어찌 단청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는가.[前代宮室 多施繪畫 予用此備朝夕觀覽 豈不愈於丹靑乎]”라고 하였다 한다. 《明史紀事本末 卷14 開國規模》
역주5 太宗文皇帝 : 1360~1424(재위 1402~1424). 明나라 3대 황제 永樂帝 朱棣이다. ‘太宗’은 묘호이며 ‘文皇帝’는 시호로, 묘호는 후에 成祖로 개칭되었다. 太宗은 1402년(建文4)에 조카인 2대 황제 建文帝(惠帝)를 내몰고 제위에 올랐다. 儒學과 朱子學 관련 도서들을 편찬하였는데, 특히 《永樂大典》의 편찬은 기념비적인 업적이다.
역주6 遷都北京 : 太宗 永樂帝는 南京에서 北京으로 천도하여 宮城인 紫禁城을 세우는 등 수도를 재건했다. 북경의 새 궁전은 1420년(永樂18)에 완공되었으며 1421년(永樂19) 새해 첫날 북경이 정식으로 명나라의 수도가 되었다.
역주7 朕以……大統 : ‘朕’은 明나라 11대 황제 嘉靖帝 朱厚熜(1507~1566, 재위 1521~1566)을 가리킨다. 묘호는 世宗이다. 憲宗의 손자이며 興獻王 朱祐杬(원)의 아들이다. ‘宗人’은 종친이라는 뜻이다. 세종이 즉위 전에 당시 황제였던 武宗의 사촌동생이었기 때문에 자신을 종친이라고 한 것이고, 16세의 나이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沖昧라고 한 것이다. 武宗은 명나라 10대 황제 朱厚照이다. 武宗은 묘호이며, 시호는 毅帝, 연호는 正德이다. 자식이 없었으므로 제위는 1521년에 사촌인 世宗이 계승했다.
역주8 皇考 : 世宗의 생부인 興獻王 朱祐杬을 가리킨다. 세종이 즉위한 뒤 흥헌왕의 존칭 문제를 의논할 때 신하들이 禮敎에 의거하여 孝宗을 皇考로 하고 본래의 생부는 숙부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나 세종은 부모를 바꿀 수 없다고 하여 흥헌왕의 존호를 興獻帝라 하고 皇考로 높였다.
역주9 出閣讀書 : 황태자가 8세 이상이 되면 殿閣을 정하여 그곳으로 나가서 翰林 등을 侍讀官과 侍講官으로 삼아 經史의 글을 배우는 의식을 말한다. 《翰林記 卷10 東宮出閣講書》
역주10 拜稽受敎 : ‘拜稽’는 ‘再拜稽首’의 준말로, 무릎을 꿇고 拜禮를 행할 때 절을 두 번 한 뒤에 다시 머리를 땅에 대고 조아려 고도의 존경을 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하가 임금과 禮를 행할 때에는 모두 계단을 내려가 再拜稽首한다. 군신 사이가 아닌데도 稽首하는 것은 지극한 공경을 표할 때 하는 것으로, 禮를 성대하게 한 것이다. 《禮經釋例 卷1 周官九拜解》
역주11 親輿上賓 : ‘親輿’는 어버이의 板輿라는 뜻이다. ‘上賓’은 上帝의 손님이 되었다는 뜻으로, 여기에서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말한다.
역주12 內閣 : 明․淸代의 중앙 관서로, 처음에는 황제의 顧問을 맡다가 나중에는 국가 기밀 사무에 참여하는 등 권위가 강화되었다. 최고책임자를 首輔라고 하였는데, 황제를 도와 정책을 세우고 公事의 문서를 살피며 詔令을 작성하는 등 재상의 직책에 해당하는 임무를 맡았다.
역주13 其所……從矣 : 《대학》 傳9章에 “堯임금과 舜임금이 仁으로 천하를 통솔하자 백성들이 따라서 仁해졌고, 桀王과 紂王이 暴惡으로 천하를 통솔하자 백성들이 따라서 포악해졌다. 임금이 명하는 것이 임금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반대가 되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 법이다.[堯舜帥天下以仁 而民從之 桀紂帥天下以暴 而民從之 其所令反其所好 而民不從]”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14 司禮監 : 明代에 설치된 관서로, 환관의 24衙門 가운데 으뜸이었다. 提督․掌印․秉筆․隨堂 등의 직함을 가진 환관들을 두었다. 提督은 皇城 안에서의 의례나 형률 등을 관장하고, 掌印은 내외의 章奏 등을 처리하였으며 秉筆은 章奏 문서를 처리하였다. 英宗 때의 환관 王振이 권력을 專斷한 이후에는 조정에서의 실권이 首輔를 능가하였다. 《中國歷代官制詞典 司禮監》
역주15 嘉靖六年六月朔旦에 序하노라 : 저본에는 ‘에’와 ‘하노라’가 없으나, 문맥을 살펴 보충하였다.
역주16 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朝鮮의 避諱이므로 바로잡았다. 이하도 동일하다.
--
經
01
論語集註●논어집주
2011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2
孟子集註●맹자집주
2011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3
大學章句●대학장구
2010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4
中庸章句●중용장구
2010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5
大學衍義(1)●대학연의(1)
2016 | 역자 : 辛承云 외 역 | 원문 , 현토 , 삽화
06
詩經集傳(上)●시경집전(상)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7
詩經集傳(下)●시경집전(하)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8
書經集傳(上)●서경집전(상)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9
書經集傳(下)●서경집전(하)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10
周易傳義(上)●주역전의(상)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11
周易傳義(下)●주역전의(하)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12
春秋左氏傳(1)●춘추좌씨전(1)
2010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 삽화
13
春秋左氏傳(2)●춘추좌씨전(2)
2011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4
春秋左氏傳(3)●춘추좌씨전(3)
2012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5
春秋左氏傳(4)●춘추좌씨전(4)
2012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6
春秋左氏傳(5)●춘추좌씨전(5)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7
春秋左氏傳(6)●춘추좌씨전(6)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8
春秋左氏傳(7)●춘추좌씨전(7)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9
春秋左氏傳(8)●춘추좌씨전(8)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20
禮記集說大全(1)●예기집설대전(1)
2010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21
論語注疏(1)●논어주소(1)
2014 | 역자 : 鄭太鉉, 李聖敏 | 원문 , 현토 , 삽화
22
論語注疏(2)●논어주소(2)
2016 | 역자 : 鄭太鉉, 李聖敏 | 원문 , 현토 , 삽화
23
論語注疏(3)●논어주소(3)
2016 | 역자 : 鄭太鉉, 李聖敏 | 원문 , 현토 , 삽화
24
周易正義●주역정의(1)
2015 | 역자 : 成百曉, 申相厚 | 원문 , 현토 , 삽화
25
尙書正義●상서정의(1)
2015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26
禮記正義●예기정의
2016 | 역자 : 李光虎, 田炳秀 | 원문 , 현토 , 삽화
史
01
國語(1)●국어(1)
2015 | 역자 : 許鎬九, 李海權, 李忠九, 金在烈 | 원문 , 현토
02
國語(2)●국어(2)
2017 | 역자 : 許鎬九, 李海權 | 원문 , 현토
03
東萊博議(1)●동래박의(1)
2016 | 원문 , 현토 , 삽화
04
資治通鑑綱目(1)●자치통감강목(1)
2015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5
資治通鑑綱目(2)●자치통감강목(2)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6
資治通鑑綱目(3)●자치통감강목(3)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7
資治通鑑綱目(4)●자치통감강목(4)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8
資治通鑑綱目(5)●자치통감강목(5)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9
資治通鑑綱目(6)●자치통감강목(6)
2018 | 역자 : 성백효 | 원문 , 현토 , 삽화
10
戰國策(1)●전국책(1)
2015 | 역자 : 林東錫 | 원문 , 현토
11
戰國策(2)●전국책(2)
2017 | 역자 : 林東錫 | 원문 , 현토
12
貞觀政要集論(1)●정관정요집론(1)
2016 | 역자 : 李忠九 | 원문 , 현토 , 삽화
13
貞觀政要集論(2)●정관정요집론(2)
2018 | 역자 : 이충구 외 | 원문 , 현토 , 삽화
14
貞觀政要集論(3)●정관정요집론(3)
2018 | 역자 : 이충구 외 | 원문 , 현토 , 삽화
15
貞觀政要集論(4)●정관정요집론(4)
2018 | 역자 : 이충구 외 | 원문 , 현토 , 삽화
16
通鑑節要(1)●통감절요(1)
2011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17
通鑑節要(2)●통감절요(2)
2012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18
通鑑節要(3)●통감절요(3)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19
通鑑節要(4)●통감절요(4)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0
通鑑節要(5)●통감절요(5)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1
通鑑節要(6)●통감절요(6)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2
通鑑節要(7)●통감절요(7)
2014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3
通鑑節要(8)●통감절요(8)
2014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4
通鑑節要(9)●통감절요(9)
2014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子
01
老子道德經注●노자도덕경주
2018 | 역자 : 金是天 | 원문 , 현토 , 삽화
02
說苑(1)●설원(1)
2018 | 역자 :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03
說苑(2)●설원(2)
2018 | 역자 :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04
揚子法言(1)●양자법언(1)
2018 | 역자 : 박승주 | 원문 , 현토 , 삽화
05
莊子(1)●장자(1)
2010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 영상
06
莊子(2)●장자(2)
2011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07
莊子(3)●장자(3)
2012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08
莊子(4)●장자(4)
2012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09
六韜直解●육도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鍾德 | 원문 , 현토 , 삽화
10
三略直解●삼략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鍾德 | 원문 , 현토 , 삽화
11
吳子直解●오자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2
孫武子直解●손무자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3
司馬法直解●사마법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4
孫子髓●손자수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5
尉繚子直解●울료자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鍾德 | 원문 , 현토 , 삽화
16
李衛公問對直解●이위공문대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7
近思錄集解(1)●근사록집해(1)
2012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18
近思錄集解(2)●근사록집해(2)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9
近思錄集解(3)●근사록집해(3)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0
小學集註●소학집주
2012 | 역자 : DB관리자 | 원문 , 현토 , 삽화
21
心經附註●심경부주
2011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22
顔氏家訓(1)●안씨가훈(1)
2015 | 역자 : 鄭在書, 盧暻熙 | 원문 , 현토 , 삽화
23
顔氏家訓(2)●안씨가훈(2)
2018 | 역자 : 정재서, 노경희 | 원문 , 현토 , 삽화
集
01
古文眞寶前集●고문진보전집
2010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02
古文眞寶後集●고문진보후집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3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1)●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2015 | 역자 : 李相夏 | 원문 , 현토 , 삽화
04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2)●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2016 | 역자 : 李相夏 | 원문 , 현토 , 삽화
05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3)●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2017 | 역자 : 李相夏 | 원문 , 현토 , 삽화
06
唐宋八大家文抄 蘇洵(1)●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2018 | 역자 : 이장우, 노장시 | 원문 , 현토 , 삽화
07
唐宋八大家文抄 蘇軾(1)●당송팔대가문초 소식(1)
2012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08
唐宋八大家文抄 蘇軾(2)●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09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0
唐宋八大家文抄 蘇軾(4)●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1
唐宋八大家文抄 蘇軾(5)●당송팔대가문초 소식(5)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2
唐宋八大家文抄 蘇轍(1)●당송팔대가문초 소철(1)
2011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13
唐宋八大家文抄 蘇轍(2)●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2016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14
唐宋八大家文抄 蘇轍(3)●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2016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15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1)●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2016 | 역자 : 신용호,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16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2016 | 역자 : 신용호,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17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1)●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2015 | 역자 : 宋基采 | 원문 , 현토 , 삽화
18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2017 | 역자 : 宋基采 | 원문 , 현토 , 삽화
19
唐宋八大家文抄 曾鞏(1)●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2018 | 역자 : 송기채 | 원문 , 현토 , 삽화
20
唐宋八大家文抄 韓愈(1)●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 삽화
21
唐詩三百首(1)●당시삼백수(1)
2010 | 역자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 원문 , 영상
22
唐詩三百首(2)●당시삼백수(2)
2011 | 역자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 원문 , 영상
23
唐詩三百首(3)●당시삼백수(3)
2012 | 역자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 원문 , 영상
24
荀子集解(1)●순자집해(1)
2016 | 역자 : 宋基采 | 원문 , 현토 , 삽화
其他
0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2011 | 역자 : 李忠九 | 원문 , 현토 , 영상
02
四字小學●사자소학
2010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3
啓蒙篇●계몽편
2010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4
童蒙先習●동몽선습
2012 | 역자 : 田好根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5
擊蒙要訣●격몽요결
2012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6
明心寶鑑●명심보감
2011 | 역자 : 李明洙 | 원문 , 현토 , 영상
07
推句●추구
2010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8
東洋古典解題集●동양고전해제집
2015 | 역자 : 편집부 | 원문 , 삽화
大學衍義(1)●대학연의(1)범례,御製重刊大學衍義序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sMode=M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1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3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2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40
デコトラ・ギャル美菜,主演:優希まこと
ヤンキー医師(Dr.)
三代目は女子高生 ,葵つかさ (出演), 藤原健一 (監督)
デコトラ・ギャル 奈美(ハードデザイン版),吉沢明歩
https://www.yesasia.com/global/deco-truck-gal-nami-iv-dvd-english-subtitled-hong-kong-version/1034499739-0-0-0-ja/info.html
ダンプ★ガール 涼子, 春菜はな (出演)
東萊先生左氏博議(同治退補齋本)1
https://ctext.org/library.pl?if=en&res=79816
진서산독서기을집상대학연의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 n12]
http://yoksa.aks.ac.kr/jsp/aa/BookList.jsp?aa10no=kh2_je_a_vsu_30143_000&keywords=%20%E5%A4%A7%E5%AD%B8%E8%A1%8D%E7%BE%A9
진서산독서기을집상대학연의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 n12]
http://yoksa.aks.ac.kr/jsp/aa/VolumeList.jsp?mode=&page=1&fcs=&fcsd=&cf=&cd=&gb=&aa10up=kh2_je_a_vsu_30143_000&keywords=%E5%A4%A7%E5%AD%B8%E8%A1%8D%E7%BE%A9&rowcount=10&listsort=%EC%84%9C%EB%AA%85
デコトラギャル奈美2~爆走!夜露死苦編
デコトラ・ギャル 奈美(ソフトデザイン版)
ダンプガール★絵莉香, 着衣で楽しむ超乳おっぱい
범례
御製重刊大學衍義序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御製重刊大學衍義序
朕이 惟古之君天下者가 興道致治(注1)
必有其要然後에 能使家齊國治而天下平焉하나니 惟大學一書가 乃古人修身治天下之要道라 宋儒眞德秀가 推衍其義하여 綱擧目張하여 本末具備하니 眞可爲後世人君之鑑戒也라
《大學衍義》 重刊에 즈음하여 쓴 御製 序文
朕의 생각에, 옛날 천하에 임금 된 이들은 道를 일으켜 治世를 이루는 데 있어 반드시 그 요체가 있은 뒤에야 집안이 가지런해지고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천하가 평안해지게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오직 《大學》이라는 책이 바로 옛사람들이 자신을 수양하고 천하를 다스렸던 중요한 방도였다. 宋나라의 유학자 眞德秀가 이 뜻을 推論하고 敷衍하여 綱이 제시되고 目이 나열되어서 本과 末이 모두 갖추어졌으니, 진실로 후세 임금의 鑑戒가 될 만하다.
恭惟我太祖高皇帝(注2)
가 首定家邦하사 落成宮殿(注3)
하시고 卽命儒臣하사 取大學衍義하여 書于墻壁하여 以代繪畫(注4)
러시니 曁我太宗文皇帝(注5)
가 遷都北京(注6)
하시니 朕이 以宗人으로 自顧沖昧호대 荷天地․祖宗垂祐하여 以皇兄武宗之命으로 入嗣大統(注7)
호니 雖不得目覩宮墻所書하나 而訓章이 具存하여 載諸寶冊하니 深思皇祖垂訓惓惓之意하여 罔敢怠忘호라
삼가 생각건대, 우리 太祖 高皇帝께서 먼저 나라를 안정시켜서 궁전을 낙성하고는 바로 儒臣에게 명을 내려 《大學衍義》를 궁전의 회랑 벽에 써서 그림을 대신하게 하셨는데, 그 뒤 우리 太宗 文皇帝 때에 北京으로 도읍을 옮기셨다. 짐은 종친으로서 스스로를 돌아볼 때 나이가 어리고 우매함에도 天地와 祖宗의 보살핌을 받아 皇兄인 武宗의 명으로 들어와서 大統을 이었다. 비록 궁전 회랑 벽에 써 있는 글을 직접 보지는 못하였지만 가르침이 담겨 있는 글이 모두 남아 寶冊에 실려 있으니, 皇祖(太祖 高皇帝)께서 간곡하게 훈계하신 뜻을 깊이 생각해볼 때 감히 게을리하거나 잊을 수가 없다.
比居藩邸에 面承皇考(注8)
之敎러니 稍長에 卽命出閣讀書(注9)
하시고 且命就講官하여 講解大學衍義하사 曰 此書가 於人에 深有裨益이니 汝遵予言하여 力爲進學하라 學不負人이라 在用功專與不專耳라하시니 朕이 拜稽受敎(注10)
러니 不幸皇天이 降割하여 親輿上賓(注11)
하시니 言猶在耳로되 追念何及이리오 近日內閣(注12)
輔臣이 請以是書進講할새 特於五月十三日에 始命經筵日講官하여 輪直講讀하여 以資朕學하노니
짐이 예전에 潛邸에 거처할 때 皇考의 가르침을 직접 받았는데, 조금 장성하자 곧바로 전각으로 나가 독서하라고 명하셨다. 그리고 講官에게 나아가서 《大學衍義》를 강해하도록 명하면서 말씀하시기를 “이 책은 사람에게 매우 도움이 되니 너는 내 말을 따라 힘써 학문에 정진하도록 하라. 학문은 사람을 저버리지 않으니, 공부를 전일하게 하느냐 마느냐에 달려 있다.”라고 하셨다. 짐은 절을 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가르침을 받았는데 불행하게도 하늘이 재앙을 내려 皇考께서 돌아가셨으니, 아직도 그 말씀이 귓가에 맴돌지만 황고를 追念한들 어찌 미칠 수 있겠는가.근일에 內閣의 輔臣들이 이 책을 進講하자고 청하기에 특별히 5월 13일에 경연의 日講官에게 처음으로 명을 내려 돌아가며 숙직하면서 강독하게 함으로써 짐의 학문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夫眞氏之撰是書也가 首書帝王爲治之序하니 蓋統言之요 次則論堯․舜以下諸君之學하니 夫學則心志通明하여 事至物來에 無所不達이라 故務學이 爲君人之首事요
眞德秀가 이 책을 저술할 때 ‘역대 聖王이 治世를 이룩해갔던 단계[帝王爲治之序]’를 맨 먼저 기록하였는데, 이는 총괄적으로 말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堯임금과 舜임금 이하 여러 임금들의 학문을 논하였는데, 학문을 하면 마음이 환하게 밝아져서 사물을 접할 때 통달하지 않는 것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학문에 힘쓰는 것은 임금 된 이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인 것이다.
至論格物致知之要엔 先明道術하여 本之天理人倫하니 理明則人慾이 滅하고 倫序則綱常이 正하여 而異端之差와 王覇之異를 有不足辨矣요 次辨人材는 欲以聖賢之觀人과 帝王之知人으로 爲法하니 則君子小人之不同道와 忠直邪媚之不同科가 較然可知요 次審治體는 以昭禮樂刑政之序하고 察民情은 以明撫虐向背之機요
‘사물의 원리를 깊이 연구하여 知性의 힘을 극대화하는 핵심적인 방법들[格物致知之要]’을 논한 항목에서는 ‘道를 분명히 밝힘[明道術]’이라는 항목을 먼저 제시하고 그 근본을 天理와 人倫에 두었으니, 천리가 분명해지면 人慾이 없어지고 인륜이 질서 잡히면 綱常이 바르게 되어 이단의 오류, 王道와 霸道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없게 된다.다음으로 ‘인재를 구별하는 방법들[辨人才]’을 논한 항목에서는 성현이 인재를 가려내는 방법과 역대 聖王이 인재를 알아보았던 사례들을 法으로 삼고자 하였으니, 이렇게 하면 군자와 소인은 道가 같지 않고 충직한 사람과 간사한 사람은 등급이 같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치국의 강령을 살핌[審治體]’을 논한 항목에서는 禮樂과 刑政의 순서를 밝혔고, ‘여론을 살피는 방법[察民情]’을 논한 항목에서는 백성들을 어루만지느냐 虐待하느냐에 따라 백성들이 지지하느냐 이반하느냐의 기미를 밝히고 있다.
誠意正心之要는 其論崇敬畏․戒逸欲이 爲詳하고 修身之要는 謹言行․正威儀가 爲主하고 而齊家之要는 則所謂重妃(배)匹․嚴內治․定國本․敎戚屬者가 無有不備焉하니
‘생각을 성실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는 요체[誠意正心之要]’를 논한 항목에서는 ‘공경함과 두려워함을 존숭함[崇敬畏]’과 ‘안일과 욕심을 경계함[戒逸欲]’을 논한 부분이 상세하고, ‘자신을 수양하는 요체[修身之要]’를 논한 항목에서는 ‘언행을 삼감[謹言行]’과 ‘위의를 바르게 함[正威儀]’을 위주로 하였다. 그리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요체[齊家之要]’를 논한 항목에서는 이른바 ‘배필을 중히 여김[重妃匹]’, ‘宮闈와 환관에 대한 단속을 엄히 함[嚴內治]’, ‘국본을 정함[定國本]’, ‘외척을 교화함[敎戚屬]’ 등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
總而言之에 皆本於修身하니 格致誠正이 皆所以修其身也니 身修則敎成於家矣라 然其中謹言行․正威儀二語가 尤爲親切하니 蓋君身은 萬化之原이라 一言一動이 關繫匪輕하니 自廳政臨朝로 至於祭祀燕享之時에 不可毫髮忽慢이니 言行謹而威儀正이면 則四海가 從焉하며 臣民이 化焉하고 否則其所令이 反其所好而民不從矣(注13)
니라 然言行을 不可以僞爲며 威儀를 不可以矯飾이라 要在意誠心正而身自修耳니라
총괄적으로 말하면 이 조목들은 모두 자신을 수양하는 것에 근본을 두고 있다. 格物․致知․誠意․正心이 모두 자신을 수양하는 방법이니, 자신이 수양되면 교화가 집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언행을 삼감[謹言行]’, ‘위의를 바르게 함[正威儀]’이라는 두 마디 말이 더욱 직접적이고 절실한데, 임금의 몸은 모든 교화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말 한마디 행동 하나가 그 관계됨이 가볍지 않으니, 政事를 보고 朝會에 임하는 때로부터 祭祀를 지내고 燕享하는 때에 이르기까지 털끝만큼도 소홀히 하거나 태만해서는 안 된다. 언행이 삼가지고 위의가 바르게 되면 온 천하가 임금을 따르게 되고 臣民들이 교화되며, 그렇지 않으면 임금이 내리는 명령이 임금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반대가 되어 백성들이 따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언행을 거짓으로 행할 수는 없는 것이며 위의를 꾸며서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요체는 생각이 성실해지고 마음이 바르게 되어 자신이 저절로 수양되느냐에 달려 있다.
嗚呼라 眞西山이 撰述此書하여 其所以望於後之君天下者가 不旣深哉아 其不及治國平天下者는 擧而措之가 率是道耳니라 朕德不逮라 覽是書에 惕然于懷하노니 自惟下作生民之主하고 上承昊天明命하여 苟不留心大學이면 則無以盡君道之所當爲者니 非但愧居君師之位라 豈不有負於天이며 有負於祖宗哉리오
아, 西山 眞德秀가 이 책을 저술하여 후세의 천하에 임금 된 이들에게 바란 것이 참으로 깊지 않은가. 治國과 平天下에 관한 항목까지 언급하지 않은 것은, 나라와 천하에 시행할 때 이상의 도리를 따르면 되기 때문이다.짐은 덕이 부족하기에 이 책을 볼 때마다 마음에 두려움이 생긴다. 스스로 생각해볼 때 아래로는 백성들의 주인이 되고 위로는 하늘의 밝은 명을 받들고서 진실로 《대학》에 마음을 두지 않는다면 임금이 당연히 행해야 할 도리를 다할 수 없게 되니, 임금의 지위에 있는 것이 부끄러운 정도에서 그칠 문제가 아니다. 어찌 하늘을 저버리는 일이 되지 않겠으며, 祖宗을 저버리는 일이 되지 않겠는가.
讀是書에 則知前代治亂之由가 皆本於學與不學耳니 學則聖賢之道와 爲治本末之序가 如指諸掌하여 修齊之功과 治平之效가 未有不得焉이요 如不學이면 則慾盛理微하여 凡百有害于身于家于國于天下者를 罔知戒止하여 危亡之勢가 未有能逃之者矣니라
이 책을 읽어보면 前代의 治世와 亂世의 원인이 모두 학문을 하였느냐 하지 않았느냐에 근본을 두고 있을 뿐임을 알게 된다. 학문을 하면 성현의 도와 치세를 이룩하는 본말의 순서가 마치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보는 것처럼 분명하여 자신을 수양하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공효와 나라를 잘 다스리고 천하를 평안하게 하는 결과가 얻어지지 않은 적이 없었으며, 학문을 하지 않으면 人慾은 커지고 天理는 희미해져서 자신과 집안과 나라와 천하에 해가 되는 온갖 것들에 대해 경계하고 금지할 줄 모르게 됨으로써 危亡의 형세를 피할 수 있는 자가 없었다.
噫라 是道也는 乃堯․舜․禹․湯․文․武之道라 非孔子之私言이며 亦非德秀之臆說也라 朕이 覽是書에 見刻寫가 未精일새 特命司禮監(注14)
하여 重刊以遺來世하노니 書刻이 可觀이면 庶使讀之者로 不至於厭斁(역)焉이니 刊成에 用序諸首하여 以申朕勉强向學之意云하노라 嘉靖六年六月朔旦에 序하노라(注15)
아, 이 道는 바로 堯임금․舜임금․禹王․湯王․文王․武王의 도이지 孔子의 개인적인 말이 아니며 眞德秀의 臆說도 아니다. 짐은 이 책을 볼 때 板刻과 글씨가 精하지 않음을 보았기 때문에 특별히 司禮監에 명하여 이 책을 重刊하여 후세에 남겨 주노라. 글씨와 판각이 볼만하면 아마도 이 책을 읽는 자들이 싫증을 낼 정도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이다. 간행이 이루어짐에 첫머리에 서문을 써서 向學을 권면하는 짐의 뜻을 밝히는 바이다.
嘉靖 6년(1527) 6월 초하루에 서문을 쓴다.
--
역주
역주1 興道致治 : 《孟子》 〈盡心 上〉에 “선비는 곤궁해도 大義를 잃지 않고 영달해도 道理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곤궁해도 大義를 잃지 않기 때문에 선비가 자신을 지킬 수 있고 영달해도 道理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다.[士窮不失義 達不離道 窮不失義 故士得己焉 達不離道 故民不失望焉]”라는 내용이 보인다. 朱熹는 《孟子集註》에서 “‘자신을 지킨다’는 것은 자신의 지조를 잃지 않는다는 말이다.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람들이 평소에 그가 道를 일으켜 治世를 이루기를 바랐는데 이제 과연 그 소망대로 되었다는 말이다.[得己 言不失己也 民不失望 言人素望其興道致治 而今果如所望也]”라고 하였는데, ‘興道致治’는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역주2 太祖高皇帝 : 1328~1398(재위 1368~1398). 明나라의 초대 황제 洪武帝 朱元璋이다. ‘太祖’는 묘호이며 ‘高皇帝’는 시호이다.
역주3 落成宮殿 : 1368년(洪武1) 9월 초하루에 太廟가 완성되었다. 그리고 9월 30일에 새로 內三殿이 완성되자, 이름을 각각 奉天殿, 華蓋殿, 謹身殿으로 명명하고 좌우의 누각을 文樓와 武樓로 명명하였다. 三殿의 뒤에 궁궐을 지었는데, 앞에 있는 궁을 乾淸宮이라 하고 뒤에 있는 궁을 坤寧宮이라 하였다. 이어 6宮을 차례로 나란히 세웠는데, 건축 양식이 꾸밈없이 매우 소박하였다. 《明史紀事本末 卷14 開國規模》
역주4 取大……繪畫 : 明나라 太祖는 궁궐이 완성되자 博士 熊鼎類에게 명하여 옛사람들의 행실이나 事蹟 가운데 鑑戒가 될 만한 것들을 벽에 쓰라 명하고, 또 侍臣에게 명하여 궁전 양쪽 회랑 벽에 《大學衍義》를 쓰라고 명하였다. 그리고 말하기를 “전대의 궁실에 보면 그림을 많이 그려놓았는데 나는 이를 써서 朝夕으로 관람하고자 한다. 이것이 어찌 단청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는가.[前代宮室 多施繪畫 予用此備朝夕觀覽 豈不愈於丹靑乎]”라고 하였다 한다. 《明史紀事本末 卷14 開國規模》
역주5 太宗文皇帝 : 1360~1424(재위 1402~1424). 明나라 3대 황제 永樂帝 朱棣이다. ‘太宗’은 묘호이며 ‘文皇帝’는 시호로, 묘호는 후에 成祖로 개칭되었다. 太宗은 1402년(建文4)에 조카인 2대 황제 建文帝(惠帝)를 내몰고 제위에 올랐다. 儒學과 朱子學 관련 도서들을 편찬하였는데, 특히 《永樂大典》의 편찬은 기념비적인 업적이다.
역주6 遷都北京 : 太宗 永樂帝는 南京에서 北京으로 천도하여 宮城인 紫禁城을 세우는 등 수도를 재건했다. 북경의 새 궁전은 1420년(永樂18)에 완공되었으며 1421년(永樂19) 새해 첫날 북경이 정식으로 명나라의 수도가 되었다.
역주7 朕以……大統 : ‘朕’은 明나라 11대 황제 嘉靖帝 朱厚熜(1507~1566, 재위 1521~1566)을 가리킨다. 묘호는 世宗이다. 憲宗의 손자이며 興獻王 朱祐杬(원)의 아들이다. ‘宗人’은 종친이라는 뜻이다. 세종이 즉위 전에 당시 황제였던 武宗의 사촌동생이었기 때문에 자신을 종친이라고 한 것이고, 16세의 나이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沖昧라고 한 것이다. 武宗은 명나라 10대 황제 朱厚照이다. 武宗은 묘호이며, 시호는 毅帝, 연호는 正德이다. 자식이 없었으므로 제위는 1521년에 사촌인 世宗이 계승했다.
역주8 皇考 : 世宗의 생부인 興獻王 朱祐杬을 가리킨다. 세종이 즉위한 뒤 흥헌왕의 존칭 문제를 의논할 때 신하들이 禮敎에 의거하여 孝宗을 皇考로 하고 본래의 생부는 숙부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나 세종은 부모를 바꿀 수 없다고 하여 흥헌왕의 존호를 興獻帝라 하고 皇考로 높였다.
역주9 出閣讀書 : 황태자가 8세 이상이 되면 殿閣을 정하여 그곳으로 나가서 翰林 등을 侍讀官과 侍講官으로 삼아 經史의 글을 배우는 의식을 말한다. 《翰林記 卷10 東宮出閣講書》
역주10 拜稽受敎 : ‘拜稽’는 ‘再拜稽首’의 준말로, 무릎을 꿇고 拜禮를 행할 때 절을 두 번 한 뒤에 다시 머리를 땅에 대고 조아려 고도의 존경을 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하가 임금과 禮를 행할 때에는 모두 계단을 내려가 再拜稽首한다. 군신 사이가 아닌데도 稽首하는 것은 지극한 공경을 표할 때 하는 것으로, 禮를 성대하게 한 것이다. 《禮經釋例 卷1 周官九拜解》
역주11 親輿上賓 : ‘親輿’는 어버이의 板輿라는 뜻이다. ‘上賓’은 上帝의 손님이 되었다는 뜻으로, 여기에서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말한다.
역주12 內閣 : 明․淸代의 중앙 관서로, 처음에는 황제의 顧問을 맡다가 나중에는 국가 기밀 사무에 참여하는 등 권위가 강화되었다. 최고책임자를 首輔라고 하였는데, 황제를 도와 정책을 세우고 公事의 문서를 살피며 詔令을 작성하는 등 재상의 직책에 해당하는 임무를 맡았다.
역주13 其所……從矣 : 《대학》 傳9章에 “堯임금과 舜임금이 仁으로 천하를 통솔하자 백성들이 따라서 仁해졌고, 桀王과 紂王이 暴惡으로 천하를 통솔하자 백성들이 따라서 포악해졌다. 임금이 명하는 것이 임금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반대가 되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는 법이다.[堯舜帥天下以仁 而民從之 桀紂帥天下以暴 而民從之 其所令反其所好 而民不從]”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14 司禮監 : 明代에 설치된 관서로, 환관의 24衙門 가운데 으뜸이었다. 提督․掌印․秉筆․隨堂 등의 직함을 가진 환관들을 두었다. 提督은 皇城 안에서의 의례나 형률 등을 관장하고, 掌印은 내외의 章奏 등을 처리하였으며 秉筆은 章奏 문서를 처리하였다. 英宗 때의 환관 王振이 권력을 專斷한 이후에는 조정에서의 실권이 首輔를 능가하였다. 《中國歷代官制詞典 司禮監》
역주15 嘉靖六年六月朔旦에 序하노라 : 저본에는 ‘에’와 ‘하노라’가 없으나, 문맥을 살펴 보충하였다.
역주16 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朝鮮의 避諱이므로 바로잡았다. 이하도 동일하다.
--
經
01
論語集註●논어집주
2011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2
孟子集註●맹자집주
2011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3
大學章句●대학장구
2010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4
中庸章句●중용장구
2010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 영상
05
大學衍義(1)●대학연의(1)
2016 | 역자 : 辛承云 외 역 | 원문 , 현토 , 삽화
06
詩經集傳(上)●시경집전(상)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7
詩經集傳(下)●시경집전(하)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8
書經集傳(上)●서경집전(상)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9
書經集傳(下)●서경집전(하)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10
周易傳義(上)●주역전의(상)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11
周易傳義(下)●주역전의(하)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12
春秋左氏傳(1)●춘추좌씨전(1)
2010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 삽화
13
春秋左氏傳(2)●춘추좌씨전(2)
2011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4
春秋左氏傳(3)●춘추좌씨전(3)
2012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5
春秋左氏傳(4)●춘추좌씨전(4)
2012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6
春秋左氏傳(5)●춘추좌씨전(5)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7
春秋左氏傳(6)●춘추좌씨전(6)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8
春秋左氏傳(7)●춘추좌씨전(7)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19
春秋左氏傳(8)●춘추좌씨전(8)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20
禮記集說大全(1)●예기집설대전(1)
2010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21
論語注疏(1)●논어주소(1)
2014 | 역자 : 鄭太鉉, 李聖敏 | 원문 , 현토 , 삽화
22
論語注疏(2)●논어주소(2)
2016 | 역자 : 鄭太鉉, 李聖敏 | 원문 , 현토 , 삽화
23
論語注疏(3)●논어주소(3)
2016 | 역자 : 鄭太鉉, 李聖敏 | 원문 , 현토 , 삽화
24
周易正義●주역정의(1)
2015 | 역자 : 成百曉, 申相厚 | 원문 , 현토 , 삽화
25
尙書正義●상서정의(1)
2015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26
禮記正義●예기정의
2016 | 역자 : 李光虎, 田炳秀 | 원문 , 현토 , 삽화
史
01
國語(1)●국어(1)
2015 | 역자 : 許鎬九, 李海權, 李忠九, 金在烈 | 원문 , 현토
02
國語(2)●국어(2)
2017 | 역자 : 許鎬九, 李海權 | 원문 , 현토
03
東萊博議(1)●동래박의(1)
2016 | 원문 , 현토 , 삽화
04
資治通鑑綱目(1)●자치통감강목(1)
2015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5
資治通鑑綱目(2)●자치통감강목(2)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6
資治通鑑綱目(3)●자치통감강목(3)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7
資治通鑑綱目(4)●자치통감강목(4)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8
資治通鑑綱目(5)●자치통감강목(5)
2017 | 역자 : 辛承云 | 원문 , 현토 , 삽화
09
資治通鑑綱目(6)●자치통감강목(6)
2018 | 역자 : 성백효 | 원문 , 현토 , 삽화
10
戰國策(1)●전국책(1)
2015 | 역자 : 林東錫 | 원문 , 현토
11
戰國策(2)●전국책(2)
2017 | 역자 : 林東錫 | 원문 , 현토
12
貞觀政要集論(1)●정관정요집론(1)
2016 | 역자 : 李忠九 | 원문 , 현토 , 삽화
13
貞觀政要集論(2)●정관정요집론(2)
2018 | 역자 : 이충구 외 | 원문 , 현토 , 삽화
14
貞觀政要集論(3)●정관정요집론(3)
2018 | 역자 : 이충구 외 | 원문 , 현토 , 삽화
15
貞觀政要集論(4)●정관정요집론(4)
2018 | 역자 : 이충구 외 | 원문 , 현토 , 삽화
16
通鑑節要(1)●통감절요(1)
2011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17
通鑑節要(2)●통감절요(2)
2012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18
通鑑節要(3)●통감절요(3)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19
通鑑節要(4)●통감절요(4)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0
通鑑節要(5)●통감절요(5)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1
通鑑節要(6)●통감절요(6)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2
通鑑節要(7)●통감절요(7)
2014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3
通鑑節要(8)●통감절요(8)
2014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4
通鑑節要(9)●통감절요(9)
2014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子
01
老子道德經注●노자도덕경주
2018 | 역자 : 金是天 | 원문 , 현토 , 삽화
02
說苑(1)●설원(1)
2018 | 역자 :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03
說苑(2)●설원(2)
2018 | 역자 :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04
揚子法言(1)●양자법언(1)
2018 | 역자 : 박승주 | 원문 , 현토 , 삽화
05
莊子(1)●장자(1)
2010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 영상
06
莊子(2)●장자(2)
2011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07
莊子(3)●장자(3)
2012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08
莊子(4)●장자(4)
2012 | 역자 : 安炳周, 田好根 | 원문 , 현토
09
六韜直解●육도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鍾德 | 원문 , 현토 , 삽화
10
三略直解●삼략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鍾德 | 원문 , 현토 , 삽화
11
吳子直解●오자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2
孫武子直解●손무자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3
司馬法直解●사마법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4
孫子髓●손자수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5
尉繚子直解●울료자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鍾德 | 원문 , 현토 , 삽화
16
李衛公問對直解●이위공문대직해
2015 | 역자 : 成百曉, 李蘭洙 | 원문 , 현토 , 삽화
17
近思錄集解(1)●근사록집해(1)
2012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18
近思錄集解(2)●근사록집해(2)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9
近思錄集解(3)●근사록집해(3)
2013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20
小學集註●소학집주
2012 | 역자 : DB관리자 | 원문 , 현토 , 삽화
21
心經附註●심경부주
2011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22
顔氏家訓(1)●안씨가훈(1)
2015 | 역자 : 鄭在書, 盧暻熙 | 원문 , 현토 , 삽화
23
顔氏家訓(2)●안씨가훈(2)
2018 | 역자 : 정재서, 노경희 | 원문 , 현토 , 삽화
集
01
古文眞寶前集●고문진보전집
2010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 영상
02
古文眞寶後集●고문진보후집
2012 | 역자 : 편집부 | 원문 , 현토
03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1)●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2015 | 역자 : 李相夏 | 원문 , 현토 , 삽화
04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2)●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2016 | 역자 : 李相夏 | 원문 , 현토 , 삽화
05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3)●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2017 | 역자 : 李相夏 | 원문 , 현토 , 삽화
06
唐宋八大家文抄 蘇洵(1)●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2018 | 역자 : 이장우, 노장시 | 원문 , 현토 , 삽화
07
唐宋八大家文抄 蘇軾(1)●당송팔대가문초 소식(1)
2012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08
唐宋八大家文抄 蘇軾(2)●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09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0
唐宋八大家文抄 蘇軾(4)●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1
唐宋八大家文抄 蘇軾(5)●당송팔대가문초 소식(5)
2017 | 역자 : 成百曉 | 원문 , 현토
12
唐宋八大家文抄 蘇轍(1)●당송팔대가문초 소철(1)
2011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13
唐宋八大家文抄 蘇轍(2)●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2016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14
唐宋八大家文抄 蘇轍(3)●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2016 | 역자 : 金東柱 | 원문 , 현토
15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1)●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2016 | 역자 : 신용호,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16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2016 | 역자 : 신용호, 허호구 | 원문 , 현토 , 삽화
17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1)●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2015 | 역자 : 宋基采 | 원문 , 현토 , 삽화
18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2017 | 역자 : 宋基采 | 원문 , 현토 , 삽화
19
唐宋八大家文抄 曾鞏(1)●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2018 | 역자 : 송기채 | 원문 , 현토 , 삽화
20
唐宋八大家文抄 韓愈(1)●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2013 | 역자 : 鄭太鉉 | 원문 , 현토 , 삽화
21
唐詩三百首(1)●당시삼백수(1)
2010 | 역자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 원문 , 영상
22
唐詩三百首(2)●당시삼백수(2)
2011 | 역자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 원문 , 영상
23
唐詩三百首(3)●당시삼백수(3)
2012 | 역자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 원문 , 영상
24
荀子集解(1)●순자집해(1)
2016 | 역자 : 宋基采 | 원문 , 현토 , 삽화
其他
0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2011 | 역자 : 李忠九 | 원문 , 현토 , 영상
02
四字小學●사자소학
2010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3
啓蒙篇●계몽편
2010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4
童蒙先習●동몽선습
2012 | 역자 : 田好根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5
擊蒙要訣●격몽요결
2012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6
明心寶鑑●명심보감
2011 | 역자 : 李明洙 | 원문 , 현토 , 영상
07
推句●추구
2010 | 역자 : 咸賢贊 | 원문 , 현토 , 삽화 , 영상
08
東洋古典解題集●동양고전해제집
2015 | 역자 : 편집부 | 원문 , 삽화
大學衍義(1)●대학연의(1)범례,御製重刊大學衍義序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sMode=M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1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3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2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40
デコトラ・ギャル美菜,主演:優希まこと
ヤンキー医師(Dr.)
三代目は女子高生 ,葵つかさ (出演), 藤原健一 (監督)
デコトラ・ギャル 奈美(ハードデザイン版),吉沢明歩
https://www.yesasia.com/global/deco-truck-gal-nami-iv-dvd-english-subtitled-hong-kong-version/1034499739-0-0-0-ja/info.html
ダンプ★ガール 涼子, 春菜はな (出演)
東萊先生左氏博議(同治退補齋本)1
https://ctext.org/library.pl?if=en&res=79816
진서산독서기을집상대학연의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 n12]
http://yoksa.aks.ac.kr/jsp/aa/BookList.jsp?aa10no=kh2_je_a_vsu_30143_000&keywords=%20%E5%A4%A7%E5%AD%B8%E8%A1%8D%E7%BE%A9
진서산독서기을집상대학연의 [眞西山讀書記乙集上大學衍義 n12]
http://yoksa.aks.ac.kr/jsp/aa/VolumeList.jsp?mode=&page=1&fcs=&fcsd=&cf=&cd=&gb=&aa10up=kh2_je_a_vsu_30143_000&keywords=%E5%A4%A7%E5%AD%B8%E8%A1%8D%E7%BE%A9&rowcount=10&listsort=%EC%84%9C%EB%AA%85
デコトラギャル奈美2~爆走!夜露死苦編
デコトラ・ギャル 奈美(ソフトデザイン版)
ダンプガール★絵莉香, 着衣で楽しむ超乳おっぱい
Labels:
文章軌範,
石川安貞注: ( 陸贄 ) 陸宣公全集,
江味農 -- 金剛般若波羅蜜經講義,
明治漢學,
法舫 :唯識史觀及其哲學,
金剛決疑 -- 憨山大師
群書治要序-魏徵
群書治要序-魏徵
群書治要序-魏徵
竊惟載籍之興,其來尚矣。左史右史,記事記言,皆所以昭德塞違,勸善懲惡。故作而可紀,薰風揚乎百代;動而不法,炯戒垂乎千祀。
是以歷觀前聖,撫運膺期,莫不懍乎禦朽,自強不息,朝乾夕惕,義在茲乎。
近古皇王,時有撰述,並皆包括天地,牢籠群有,競采浮豔之詞,爭馳迂誕之說,騁末學之傳聞,飾雕蟲之小技,流蕩忘反,殊途同致。
雖辯周萬物,愈失司契之源,術總百端,彌乖得一之旨。皇上以天縱之多才,運生知之睿思,性與道合,動妙幾神。
元德潛通,化前王之所未化;損已利物,行列聖所不能行。瀚海龍庭之野,並為郡國;扶桑若木之域,咸襲纓冤。
天地成平,外內禔福,猶且為而不恃,雖休勿休,俯協堯舜,式遵稽古。不察貌乎止水,將取鑒乎哲人。
以為六籍紛綸,百家蹖駁。窮理盡性,則勞而少功;周覽汎觀,則博而寡要。
故爰命臣等,採摭群書,翦截浮放,光昭訓典,聖思所存,務乎政術,綴敘大略,咸發神衷,雅致鉤深,規摹宏遠,網羅政體,事非一日。
若乃欽明之后,屈已以救時,無道之君,樂身以亡國,或臨難而知懼,在危而獲安,或得志而驕居,業成以致敗者,莫不備其得失,以著為君之難。
其委質策名,立功樹惠,貞心直道,亡軀殉國,身殞百年之中,聲馳千載之後,或大奸巨猾,轉日回天,社鼠城狐,反白作黑,忠良由其放逐,
邦國因以危亡者,咸亦述其終始,以顯為臣不易。其立德立言,作訓垂範,為綱為紀,經天緯地,金聲玉振,騰實飛英,雅論徽猷,嘉言美事,
可以宏獎名教,崇太平之基者,固亦片善不遺,將以丕顯皇極。至於母儀嬪則,懿后良妃,參徽猷於十亂,著深誡於辭輦,或傾城哲婦,
亡國豔妻,候晨雞以先鳴,待舉烽而後笑者,時有所存,以備勸戒。爰自六經,訖乎諸子,上始古帝,下盡晉年,凡為五表,合五十卷。
本求治要,故以治要為名。但皇覽遍略,隨方類聚,名目互顯,首尾淆亂,文義斷絕,尋究為難。
今之所撰,異乎先作,總立新名,各全舊體,欲令見本知末,原始要終,並棄彼春華,采茲秋實。一書之內,牙角無遺;一事之中,羽毛咸盡。
用之當今,足以殷鑒前古;傳之來葉,可以貽厥孫謀。引而申之,觸類而長。蓋亦言之者無罪,聞之者足以戒。庶宏茲九德,簡而易從;觀彼百王,不疾而速。
崇巍巍之盛業,開蕩蕩之王道。可久可大之功,並天地之貞觀;日用日新之德,將金鏡以長懸矣。其目錄次第,編之如左。
--
御製貞觀政要序
朕惟三代而後治功莫盛於 唐而唐三百年間尢莫若貞 觀之盛誠以太宗克已勵精 圗治扵其上而群臣如魏徴 軰感其知遇之隆相與獻可
替否以輔治扵下君明臣良
唐の呉兢撰、元の戈直注。唐の太宗が群臣とかわした政治上の論議を、君道以下40門に分けて10巻に編したもので、
治政の要を知るための書として重んじられた。「貞観」は太宗の年号(627-49)。
本書は、〔慶長5(1600)年〕に徳川家康が京都円光寺開山閑室元佶(1548-1606)に命じて木活字で刊行させた古活字版で、
伏見版と呼ばれているもののひとつ。
羣書治要(一)
https://archive.org/details/02097235.cn/page/n2
皇明政要(一)by (明)婁性撰
https://archive.org/details/02081583.cn/page/n2
貞觀政要·卷一by (唐)吳兢
https://archive.org/details/06075846.cn
唐) 呉兢 撰[他] (忠田吉兵衞 活字印, 元和9 [1623])
http://dl.ndl.go.jp/info:ndljp/pid/2606798
貞觀政要 10卷 -(唐) 呉兢 撰[他] (慶長5 [1600])
http://dl.ndl.go.jp/info:ndljp/pid/2607951?tocOpened=1
貞觀政要集論(1)●정관정요집론(1)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sMode=M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御製重刊大學衍義序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sMode=M
群書治要序-魏徵
竊惟載籍之興,其來尚矣。左史右史,記事記言,皆所以昭德塞違,勸善懲惡。故作而可紀,薰風揚乎百代;動而不法,炯戒垂乎千祀。
是以歷觀前聖,撫運膺期,莫不懍乎禦朽,自強不息,朝乾夕惕,義在茲乎。
近古皇王,時有撰述,並皆包括天地,牢籠群有,競采浮豔之詞,爭馳迂誕之說,騁末學之傳聞,飾雕蟲之小技,流蕩忘反,殊途同致。
雖辯周萬物,愈失司契之源,術總百端,彌乖得一之旨。皇上以天縱之多才,運生知之睿思,性與道合,動妙幾神。
元德潛通,化前王之所未化;損已利物,行列聖所不能行。瀚海龍庭之野,並為郡國;扶桑若木之域,咸襲纓冤。
天地成平,外內禔福,猶且為而不恃,雖休勿休,俯協堯舜,式遵稽古。不察貌乎止水,將取鑒乎哲人。
以為六籍紛綸,百家蹖駁。窮理盡性,則勞而少功;周覽汎觀,則博而寡要。
故爰命臣等,採摭群書,翦截浮放,光昭訓典,聖思所存,務乎政術,綴敘大略,咸發神衷,雅致鉤深,規摹宏遠,網羅政體,事非一日。
若乃欽明之后,屈已以救時,無道之君,樂身以亡國,或臨難而知懼,在危而獲安,或得志而驕居,業成以致敗者,莫不備其得失,以著為君之難。
其委質策名,立功樹惠,貞心直道,亡軀殉國,身殞百年之中,聲馳千載之後,或大奸巨猾,轉日回天,社鼠城狐,反白作黑,忠良由其放逐,
邦國因以危亡者,咸亦述其終始,以顯為臣不易。其立德立言,作訓垂範,為綱為紀,經天緯地,金聲玉振,騰實飛英,雅論徽猷,嘉言美事,
可以宏獎名教,崇太平之基者,固亦片善不遺,將以丕顯皇極。至於母儀嬪則,懿后良妃,參徽猷於十亂,著深誡於辭輦,或傾城哲婦,
亡國豔妻,候晨雞以先鳴,待舉烽而後笑者,時有所存,以備勸戒。爰自六經,訖乎諸子,上始古帝,下盡晉年,凡為五表,合五十卷。
本求治要,故以治要為名。但皇覽遍略,隨方類聚,名目互顯,首尾淆亂,文義斷絕,尋究為難。
今之所撰,異乎先作,總立新名,各全舊體,欲令見本知末,原始要終,並棄彼春華,采茲秋實。一書之內,牙角無遺;一事之中,羽毛咸盡。
用之當今,足以殷鑒前古;傳之來葉,可以貽厥孫謀。引而申之,觸類而長。蓋亦言之者無罪,聞之者足以戒。庶宏茲九德,簡而易從;觀彼百王,不疾而速。
崇巍巍之盛業,開蕩蕩之王道。可久可大之功,並天地之貞觀;日用日新之德,將金鏡以長懸矣。其目錄次第,編之如左。
--
御製貞觀政要序
朕惟三代而後治功莫盛於 唐而唐三百年間尢莫若貞 觀之盛誠以太宗克已勵精 圗治扵其上而群臣如魏徴 軰感其知遇之隆相與獻可
替否以輔治扵下君明臣良
唐の呉兢撰、元の戈直注。唐の太宗が群臣とかわした政治上の論議を、君道以下40門に分けて10巻に編したもので、
治政の要を知るための書として重んじられた。「貞観」は太宗の年号(627-49)。
本書は、〔慶長5(1600)年〕に徳川家康が京都円光寺開山閑室元佶(1548-1606)に命じて木活字で刊行させた古活字版で、
伏見版と呼ばれているもののひとつ。
羣書治要(一)
https://archive.org/details/02097235.cn/page/n2
皇明政要(一)by (明)婁性撰
https://archive.org/details/02081583.cn/page/n2
貞觀政要·卷一by (唐)吳兢
https://archive.org/details/06075846.cn
唐) 呉兢 撰[他] (忠田吉兵衞 活字印, 元和9 [1623])
http://dl.ndl.go.jp/info:ndljp/pid/2606798
貞觀政要 10卷 -(唐) 呉兢 撰[他] (慶長5 [1600])
http://dl.ndl.go.jp/info:ndljp/pid/2607951?tocOpened=1
貞觀政要集論(1)●정관정요집론(1)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sMode=M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御製重刊大學衍義序
http://db.cyberseodang.or.kr/front/sabuList/BookMain.do?mId=m01&sMode=M
Labels:
石川安貞注: ( 陸贄 ) 陸宣公全集,
阿賴耶識,
康有為 -- 春秋董氏學,
陳鵬釋譯:唯識四論,
幕末 (1800-1868) 之陽明學,
說文解字,
錢穆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 目次
・ 奏草
・ 巻之一
・ 論関中事宜状
・ 論両河及淮西利害状
--
巻之二
・ 論叙遷幸之由状
・ 奉天論奏当今所切務状
・ 奉天論前所答奏未施行状
・ 巻之三
・ 奉天論尊号加字状
・ 重論尊号状
・ 奉天論赦書事条状
・ 奉天論擬与翰林学士改転状
・ 奉天数対群臣兼許命論事状
--
巻之四
・ 奉天請罷〓林大盈二庫状
・ 奉天論解蕭復状
・ 奉天薦袁高等状
・ 奉天論李晟所管兵馬状
・ 奉天奏李建徽楊恵元両節度兵馬状
・ 駕幸梁州論進献瓜果人擬官状
・ 又論進瓜果人擬官状
・ 巻之五
・ 興元論解姜公輔状
・ 又答論姜公輔状
・ 興元論請優奨曲環所領将士状
・ 興元論解蕭復状
・ 又答論蕭復状
・ 興元論続従賊中赴行在官等状
--
巻之六
・ 興元論撫循李楚琳状
・ 興元論中官及朝官賜名定難功臣状
・ 興元賀吐蕃尚結賛抽軍廻帰状
・ 興元奏請許渾〓李晟等諸軍兵馬自取機便状
・ 興元論賜渾〓詔書為取散失内人等議状
・ 巻之七
・ 鑾駕将還宮闕論発日状
・ 請釈趙貴先罪状
・ 論替換李楚琳状
・ 収復河中後請罷兵状
・ 奏議
・ 巻之八
・ 請許台省長官挙薦属吏状
・ 論宣令除裴延齢度支使状
・ 論斉映斉拡官状
・ 請遣使臣宣撫諸道遭水州県状
・ 論淮西管内水損処請同諸道遣宣慰使状
・ 論嶺南請於安南置市舶中使状
--
巻之九
・ 請減京東水運収脚価於〓辺州鎮儲蓄軍糧事宜状
・ 商量処置竇参事体状
・ 奏議竇参等官状
・ 請不簿録竇参荘宅状
・ 請還田緒所寄撰碑文馬絹状
・ 巻之十
・ 謝密肯因論所宜事状
・ 議〓州逐劉士寧事状
・ 請不与李万栄汴州節度使状
・ 請依京兆所請折納事状
・ 論度支令京兆府折税市草事状
--
巻之十一
・ 論辺城貯備米粟等状
・ 論〓辺守備事宜状
・ 巻之十二
・ 論左降官准赦合量移事状
・ 又奏量移官状
・ 又進量移官状
・ 論朝官闕員及刺史等改転倫序状
--
巻之十三
・ 均節賦税恤百姓六条
・ 巻之十四
・ 論裴延齢姦蠧書一首
--
制誥
・ 巻之十五
・ 奉天改元大赦制
・ 平朱泚後車駕還京大赦制
・ 巻之十六
・ 貞元改元大赦制
・ 冬至大礼大赦制
・ 巻之十七
・ 貞元九年冬至大礼大赦制
・ 蝗虫避正殿降免囚徒徳音
・ 誅李懐光後原宥河中将吏並招諭淮西詔
・ 誅李希烈後原宥淮西将吏並授陳仙奇節度詔
・ 重原宥淮西将士詔
・ 巻之十八
・ 賑恤諸道将吏百姓等詔
・ 優〓畿内百姓並除十県令詔
・ 重優復興元府及洋鳳等州百姓詔
・ 議減監価詔
・ 賜京畿及同〓等州百姓種子賑給貧人詔
・ 賜将士名奉天定難功臣詔
・ 改梁州為興元府升洋州為望州詔
--
巻之十九
・ 奉天遣使宣慰諸道詔
・ 収復京師遣使宣慰将吏百姓詔
・ 平淮西後宴賞諸軍将士放帰本道詔
・ 授王武俊李抱真官封並招諭朱滔詔
・ 招諭淮西将吏詔
・ 招諭河中詔
・ 安撫淮西帰順将士百姓勅
・ 甄奨陥賊守節官詔
・ 令百寮議大礼期日詔不許諸軍侵擾勅
・ 放淮西生口帰本貫勅令諸道募霊武鎮守人詔
・ 巻之二十
・ 冊淑妃王氏為皇后文
・ 冊嘉誠公主文
・ 冊蜀王妃文
・ 冊杞王妃文
・ 告謝昊天上帝冊文
・ 告謝玄宗廟文
・ 告謝粛宗廟文
・ 告謝代宗廟文
・ 祭大禹廟文
・ 制策問賢良方正能直言極諫科
・ 制策問博通墳典達於教化科
・ 制策問識洞韜略堪任将帥科
・ 答宰相請停大礼表
・ 答百寮請停大礼表
・ 答第二表
・ 答第三表
・ 答百寮賀利州連理木表
・ 答宰臣請復御膳表
・ 答百寮請復御膳表
・ 巻之二十一
・ 李晟司徒兼中書令制
・ 蕭復劉従一姜公輔平章事制
・ 張延賞中書侍郎平章事制
・ 渾〓侍中制
・ 盧翰劉従一門下中書侍郎平章事制
・ 劉滋崔造斉映平章事制
・ 李納検校左僕射平章事制
・ 韓滉検校左僕射平章事制
・ 李勉太子師制
・ 姜公輔左庶子制
・ 崔造右庶子制
・ 盧翰太子〓客制
--
巻之二十二
・ 賈耽東都留守制
・ 崔縦東都留守制
・ 普王荊襄江西等道兵馬都元帥制
・ 馬燧渾〓副元帥招討河中制
・ 李晟鳳翔隴西節度兼涇原副元帥制
・ 劉洽検校司空充諸道兵馬都統制
・ 巻之二十三
・ 渾〓京畿金商節度使制
・ 杜亜淮南節度使制
・ 虔王申光随蔡等州節度使制
・ 唐朝臣振武節度使論惟明鄜坊観察使制
・ 韓滉加検校右僕射制
・ 嘉王横海軍節度使制
・ 馬燧李皐賜実封制
・ 韓滉度支監鉄転運等使制
・ 李叔明右僕射制
・ 李澄贈司空制
・ 除鄧州帰順官制
・ 李納検校司空制
・ 巻之二十四
・ 賜李納王武俊等鉄券文
・ 賜安西管内黄姓纛官鉄券文
・ 慰問四鎮北庭将吏勅書与回〓可汗書
・ 賜吐蕃将書
・ 賜吐蕃宰相尚結賛書三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1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3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2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40
陸宣公全集註. 3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1
陸宣公全集註. 4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2
陸宣公全集註. 5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3
陸宣公全集註. 6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4
陸宣公全集註. 7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5
陸宣公全集註. 8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6
陸宣公全集註. 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7
陸宣公全集註. 10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8
--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上) - 谷口明夫,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50_po_ART0005018711.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中)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68_po_ART0005018736.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下)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77_po_ART0005018748.pdf?contentNo=1&alternativeNo=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刊行考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513_po_ART0005018511.pdf?contentNo=1&alternativeNo=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info:ndljp/pid/10504477?tocOpened=1
谷口 明夫
タニグチ アキオ | TANIGUCHI Akio
1994 - 2005 陸宣公奏議の書誌学的研究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略論
一九九七東亞漢學論文集(出版社:台湾学生書局) 1998
陸宣公全集註-(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 目次
・ 奏草
・ 巻之一
・ 論関中事宜状
・ 論両河及淮西利害状
--
巻之二
・ 論叙遷幸之由状
・ 奉天論奏当今所切務状
・ 奉天論前所答奏未施行状
・ 巻之三
・ 奉天論尊号加字状
・ 重論尊号状
・ 奉天論赦書事条状
・ 奉天論擬与翰林学士改転状
・ 奉天数対群臣兼許命論事状
--
巻之四
・ 奉天請罷〓林大盈二庫状
・ 奉天論解蕭復状
・ 奉天薦袁高等状
・ 奉天論李晟所管兵馬状
・ 奉天奏李建徽楊恵元両節度兵馬状
・ 駕幸梁州論進献瓜果人擬官状
・ 又論進瓜果人擬官状
・ 巻之五
・ 興元論解姜公輔状
・ 又答論姜公輔状
・ 興元論請優奨曲環所領将士状
・ 興元論解蕭復状
・ 又答論蕭復状
・ 興元論続従賊中赴行在官等状
--
巻之六
・ 興元論撫循李楚琳状
・ 興元論中官及朝官賜名定難功臣状
・ 興元賀吐蕃尚結賛抽軍廻帰状
・ 興元奏請許渾〓李晟等諸軍兵馬自取機便状
・ 興元論賜渾〓詔書為取散失内人等議状
・ 巻之七
・ 鑾駕将還宮闕論発日状
・ 請釈趙貴先罪状
・ 論替換李楚琳状
・ 収復河中後請罷兵状
・ 奏議
・ 巻之八
・ 請許台省長官挙薦属吏状
・ 論宣令除裴延齢度支使状
・ 論斉映斉拡官状
・ 請遣使臣宣撫諸道遭水州県状
・ 論淮西管内水損処請同諸道遣宣慰使状
・ 論嶺南請於安南置市舶中使状
--
巻之九
・ 請減京東水運収脚価於〓辺州鎮儲蓄軍糧事宜状
・ 商量処置竇参事体状
・ 奏議竇参等官状
・ 請不簿録竇参荘宅状
・ 請還田緒所寄撰碑文馬絹状
・ 巻之十
・ 謝密肯因論所宜事状
・ 議〓州逐劉士寧事状
・ 請不与李万栄汴州節度使状
・ 請依京兆所請折納事状
・ 論度支令京兆府折税市草事状
--
巻之十一
・ 論辺城貯備米粟等状
・ 論〓辺守備事宜状
・ 巻之十二
・ 論左降官准赦合量移事状
・ 又奏量移官状
・ 又進量移官状
・ 論朝官闕員及刺史等改転倫序状
--
巻之十三
・ 均節賦税恤百姓六条
・ 巻之十四
・ 論裴延齢姦蠧書一首
--
制誥
・ 巻之十五
・ 奉天改元大赦制
・ 平朱泚後車駕還京大赦制
・ 巻之十六
・ 貞元改元大赦制
・ 冬至大礼大赦制
・ 巻之十七
・ 貞元九年冬至大礼大赦制
・ 蝗虫避正殿降免囚徒徳音
・ 誅李懐光後原宥河中将吏並招諭淮西詔
・ 誅李希烈後原宥淮西将吏並授陳仙奇節度詔
・ 重原宥淮西将士詔
・ 巻之十八
・ 賑恤諸道将吏百姓等詔
・ 優〓畿内百姓並除十県令詔
・ 重優復興元府及洋鳳等州百姓詔
・ 議減監価詔
・ 賜京畿及同〓等州百姓種子賑給貧人詔
・ 賜将士名奉天定難功臣詔
・ 改梁州為興元府升洋州為望州詔
--
巻之十九
・ 奉天遣使宣慰諸道詔
・ 収復京師遣使宣慰将吏百姓詔
・ 平淮西後宴賞諸軍将士放帰本道詔
・ 授王武俊李抱真官封並招諭朱滔詔
・ 招諭淮西将吏詔
・ 招諭河中詔
・ 安撫淮西帰順将士百姓勅
・ 甄奨陥賊守節官詔
・ 令百寮議大礼期日詔不許諸軍侵擾勅
・ 放淮西生口帰本貫勅令諸道募霊武鎮守人詔
・ 巻之二十
・ 冊淑妃王氏為皇后文
・ 冊嘉誠公主文
・ 冊蜀王妃文
・ 冊杞王妃文
・ 告謝昊天上帝冊文
・ 告謝玄宗廟文
・ 告謝粛宗廟文
・ 告謝代宗廟文
・ 祭大禹廟文
・ 制策問賢良方正能直言極諫科
・ 制策問博通墳典達於教化科
・ 制策問識洞韜略堪任将帥科
・ 答宰相請停大礼表
・ 答百寮請停大礼表
・ 答第二表
・ 答第三表
・ 答百寮賀利州連理木表
・ 答宰臣請復御膳表
・ 答百寮請復御膳表
・ 巻之二十一
・ 李晟司徒兼中書令制
・ 蕭復劉従一姜公輔平章事制
・ 張延賞中書侍郎平章事制
・ 渾〓侍中制
・ 盧翰劉従一門下中書侍郎平章事制
・ 劉滋崔造斉映平章事制
・ 李納検校左僕射平章事制
・ 韓滉検校左僕射平章事制
・ 李勉太子師制
・ 姜公輔左庶子制
・ 崔造右庶子制
・ 盧翰太子〓客制
--
巻之二十二
・ 賈耽東都留守制
・ 崔縦東都留守制
・ 普王荊襄江西等道兵馬都元帥制
・ 馬燧渾〓副元帥招討河中制
・ 李晟鳳翔隴西節度兼涇原副元帥制
・ 劉洽検校司空充諸道兵馬都統制
・ 巻之二十三
・ 渾〓京畿金商節度使制
・ 杜亜淮南節度使制
・ 虔王申光随蔡等州節度使制
・ 唐朝臣振武節度使論惟明鄜坊観察使制
・ 韓滉加検校右僕射制
・ 嘉王横海軍節度使制
・ 馬燧李皐賜実封制
・ 韓滉度支監鉄転運等使制
・ 李叔明右僕射制
・ 李澄贈司空制
・ 除鄧州帰順官制
・ 李納検校司空制
・ 巻之二十四
・ 賜李納王武俊等鉄券文
・ 賜安西管内黄姓纛官鉄券文
・ 慰問四鎮北庭将吏勅書与回〓可汗書
・ 賜吐蕃将書
・ 賜吐蕃宰相尚結賛書三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1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3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2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景寛政二年 序, 名古屋永樂屋東四郎等刊本 ( 栗田慶雲堂, 1886 )
http://kindai.ndl.go.jp/info:ndljp/pid/895940
陸宣公全集註. 3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1
陸宣公全集註. 4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2
陸宣公全集註. 5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3
陸宣公全集註. 6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4
陸宣公全集註. 7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5
陸宣公全集註. 8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6
陸宣公全集註. 9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7
陸宣公全集註. 10 -石川安貞 註: 陸宣公全集註. (唐) 陸贄 撰, (日本) 石川安貞 註
http://dl.ndl.go.jp/info:ndljp/pid/895948
--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上) - 谷口明夫,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50_po_ART0005018711.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中)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68_po_ART0005018736.pdf?contentNo=1&alternativeNo=
『陸宣公集』とその注解(下)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477_po_ART0005018748.pdf?contentNo=1&alternativeNo=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刊行考 - 谷口明夫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10504513_po_ART0005018511.pdf?contentNo=1&alternativeNo=
中国中世文学研究
http://dl.ndl.go.jp/info:ndljp/pid/10504477?tocOpened=1
谷口 明夫
タニグチ アキオ | TANIGUCHI Akio
1994 - 2005 陸宣公奏議の書誌学的研究
潘仁≪唐丞相陸宣公奏議纂註≫略論
一九九七東亞漢學論文集(出版社:台湾学生書局) 1998
訂閱:
文章 (Atom)